earticle

논문검색

건축가 이종호의 기억 개념과 기념건축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LEE JONG HO’s Concept of Memory and Memorial Architecture

백지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Memory’ comes into the spotlight as a new substitute for ‘History’. ‘Memory’ means individual events, respective histories and times that were considered ‘the others’ by History called ‘grand governing discourse’. This conversion of the idea of memory calls for a new paradigm of the memorial architecture.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contemporary memorial architecture design process based on the concept of memory. Specially, Lee Jong Ho's memorial architecture is studied for this study. Because, he had designed the memorial architecture based on concept of memory. In the first stage of design, 'Counter-memory' is applied to his memorial architecture. His memorial architecture in this stage corresponds with the property of post-structural 'open text'. These memorial architecture would have the following features. Unperceivable Form, Remove the Main Axis, Defamilarization, Weak material. His last work of memory, Marronnier Park design looks entirely different than previous works. According to his paper about Marronnier Park, 'Creation-memory' is applied to this work. For this cause, he use the Voronoi diagram generated by automatic generation process of computer. This is because he want the author to be excluded. This kind of design is an work unprecedented in today's memorial architecture design. It is not easy to embrace such a design, but it would be valuable to study. In this sense, Marronnier park is important works to think about today's memorial architecture.

한국어

최근 ‘역사’의 대안으로서 ‘기억’이 대두되고 있다. 기억은 거대 담론으로서 역사에 의해 타자화 되었던 개인적인 사건과 시간들을 의미한다. 이러한 역사에서 기억으로의 역사인식에 대한 변화는 새로운 형태의 기념건축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이종호의 기념건축을 통해 ‘기억’을 바탕으로 한 기념건축에 대해서 연구를 하고자 한다. 이종호의 기억을 바탕으로 한 초기 기념건축에서는 ‘대항기억’이 사용되었고, 이는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에서 열린 텍스트적 성향을 보이며, 형의 드러나지않음, 중심축의 해체, 낯설게하기의 관람동선, 연약한 외장재 라는 특징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그의 마지막 기념건축에 대한 작업인 마로니에 공원에 이르러서 그는 전혀 다른 모습을 보여주는데, 컴퓨터에 의한 자동생성의 보로보이 다이어그램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그가 ‘생성의 기억’이라는 개념을 그의 기념건축에 적용한 것이며, 이는 오늘날의 기념건축의 설계에 있어서 매우 가치있는 작업으로 평가될 수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2. 근대 역사인식과 기념건축에 관한 고찰
  2.1 근대의 역사 인식
  2.2 ‘과학으로서의 역사’와 기념건축의 특징
  2.3 ‘내러티브로서의 역사’와 기념건축의 특징
 3. ‘대항기억’과 이종호 기념건축에 관한 고찰
  3.1 대항기억의 정의
  3.2 대항기억과 역사서술
  3.3 대체기억과 이종호 기념건축
  3.4 대항기억과 이종호 기념건축
 4. ‘생성의 기억’과 이종호 기념건축에 관한 고찰
  4.1 마로니에 공원에 대한 분석
  4.2 ‘생성기억’의 정의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백지웅 Baek, Ji-Woong. 신라대학교 건축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