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준경묘ㆍ영경묘 산도에 대한 비교 연구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nthe Sando of Junkyung and Youngkyung Tombs

황인혁, 정석원, 이창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Jokbo (族譜) refers to a book containing genealogy records - lineage, marriage, etc. -of people sharing a same family name, or members of a certain clan among those sharing the family name in the order of their generations under a certain format and/or style. Sando (山圖) refers to a map portraying a natural topography as a propitious site according to the rules of feng shui. Jokbo and sando were created separately in different domains for different purposes: jokbo for systematical management of genealogy records in a family; and sando for depiction of topographical information of a certain space. Within the relevant academic fields including painting and map, sando has not been treated in a serious manner due to its characteristics such as the subjective, exaggerated expressions rather than realistic portrayal and coarseness of artistic qualities. However, some changes are observed in the composition of jokbo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due to the advancements in study of rye (禮) and formation of clan rules, and one of the most significant among these changes is the inclusion of sando. It is thought that sando is introduced as a visual reference to overcome the limits of written references in describing the natural landscapes of the family's burial sites. Thus, jokbo and sando had been used together for efficient managements of family's genealogy information despite their differences in origins and expression methods.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ando of Junkyung and Youngkyung Tombs, which have been a subject of historical/academic interests as well as controversy among such sando created during Joseon Dynasty. Junkyung and Youngkyung Tombs have caused much controversy with its existence but, many clans in Jeonju Lee family started creating sando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nd Japanese colonial era. Such creation of sando of a single site in various perspectives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can be a good case to examine the intention and information of the relevant persons because, the different expressions and portrayals reflecting the various circumstances of clans can be a good source in examining of the techniques and intentions of the creators. Through the process of examining such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it was learned that there certainly is a unique method of pictorialization for sando, and that the information contained are correct enough to prove the academic value of sando. It is thought that continued research on sando can be a good alternative to overcome the limits of written resources on spatial data of topography/geology.

한국어

族譜는 한 姓貫전체 또는 그 중 한 계파에 속하는 자손의 혈통과 혼 인관계를 선후 代數와 항렬별로 일정한 도표와 서식에 따라 기록한 家 系記錄을 말하며, 山圖는 자연 지형을 풍수적 명당공간으로 묘사한 그 림지도를 말한다. 족보는 가계기록에 대한 체계적 관리를 목적으로, 산 도는 특정 공간의 지형정보를 그림으로 담아낼 목적으로 각각 별개의 영역에서 독자적으로 제작되어 왔다. 특히 산도는 대상지에 대한 사실적 묘사보다 제작자의 주관에 의한 과장이 심하고 회화적 표현이 거칠어, 회화 또는 지도 등 유관분야에서 큰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그런데 조선후기에는 예학의 심화와 종법적 인 가족제도의 정착 등으로 족보의 구성에도 변화가 보이는데, 가장 큰 특징 중 하나가 산도의 수록이다. 이는 선영에 대한 자연경관을 묘사할 때, 기록자료만으로는 다양한 정보를 수록할 수 없는 표현의 한계를 극 복하기 위한 방편으로 시각자료 즉 산도를 도입하였다고 생각된다. 이 와 같이 족보와 산도는 태생적 배경과 표현 방법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家系情報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서로를 필요로 하게 된 것이다. 조선왕조 전시기에 걸쳐 관심과 논란의 대상이었던 준경묘ㆍ영경묘 산도에는 이러한 정보들이 다양하게 집약되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차이와 특징을 규명하는 과정을 통해 산도에는 산도 나름의 독특한 圖 法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수록된 정보에도 진정성과 합리성 이 풍부하여 학술적 가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머리말
 Ⅱ. 족보에 수록되는 산도의 내용
 Ⅲ. 준경묘ㆍ영경묘에 대한 선행연구
 Ⅳ. 준경묘ㆍ영경묘 산도의 종류
 Ⅴ. 준경묘ㆍ영경묘 산도의 분석
 Ⅵ. 맺음말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황인혁 Hwang In-hyuk. 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 정석원 Jung Suk-won. 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박사과정
  • 이창환 Lee Chang-hwan. 상지영서대 도시조경인테리어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