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魏晉및 16國時代河西地域의 교역기반 - 서역경영 및 소그드인의 활동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trade foundation of the HeXi Region of Wei & Jin Dynasties and sixteen Kingdoms of China –Focusing on the opening up the countries to the Western Regions and the activity of Sogdians

위진및 16국시대하서지역의 교역기반 - 서역경영 및 소그드인의 활동을 중심으로 -

金炳模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s the trade foundation of the HeXi Region of Wei & Jin Dynasties and sixteen Kingdoms of China focusing on the opening up the countries to the Western Regions and the activity of Sogdians. During the Wei-Jin Era, the Hexi Region saw intensified influx and development of central culture an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ctivities and influx of merchants from the Central Asia Sogdiana. Especially, the Western Regions as the trading hub, the new rise and role of Dunhuang is a feature that cannot be overlooked. Above all, the rise of local governments deviating from the central government of the Sixteen Kingdoms Era in the Hexi Region is noticeable, and their understanding in relation to the trade foundation is an exceptional factor that cannot be overlooked. In particular, Dunhuang which had begun to attract attention in the Wei-Jin Dynasties Era newly established itself as the core of trade in the Hexi Region as administrative capital of local government through Sixteen Kingdoms Era, and developed again as the national capital. Though the Sixteen Kingdoms Era was governed by many regimes like Former Liang Kingdom, Former Qin Kingdom, Later Liang Kingdom, Western Liang Kingdom, Northern Liang Kingdom, etc, and the overall flow of the trade foundation was much more strong and progressive in developmental aspects than the Wei-Jin Dynasties Era, also, it is found that the influx size of Sogdians and their activities in the region increased significantly in comparison to Wei-Jin Dynasties Era. Especially, there was expansion into new fields and regions with the substantial increase in scale of family relations.

한국어

본 연구는 魏晉및 16國時代河西지역의 교역기반에 관하여 西域經營 및 소그드인의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검토 결과 위진시대 하서지역은 중원문화의 유입 및 발전이 심화되고 중앙아시아 소그드 상인의 유입 및 활동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된 다. 특히 대 서방 교역 거점으로서 돈황의 새로운 대두 및 역할이 간과 할 수 없는 특징으로 나타난다. 16국시대 하서지역은 중앙정부에서 이탈한 지방정권의 대두가 무엇보 다도 주목되며, 이들의 남다른 교역 의지 역시 교역기반 파악과 관련하 여 간과할 수 없는 요인으로 나타난다. 특히 위진시대에 주목을 받기 시 작한 돈황은 16국시대를 거치면서 刺史의 治所로서, 그리고 國都로서 발 전을 거듭하며 하서지역 교역을 주도하는 핵심 거점의 하나로 새롭게 자리매김하고 있다. 16국시대 하서지역은 전량, 전진, 후량, 서량, 북량 등 여러 정권의 지 배를 거치지만 교역기반의 전체적인 흐름은 위진시대에 비해 훨씬 견고 하고 발전적인 양상으로 진일보하며, 소그드인의 유입 규모와 활동 지 역 역시 위진시대에 비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특히 상당 규 모로 일가를 이루어 새로운 분야 및 지역으로 진출을 확대해가는 모습도 확인된다.

목차

<논문 요약>
 1. 序論
 2. 曹魏및 西晉時代교역기반
 3. 16國時代교역기반
 4. 結論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金炳模 김병모. 동국대 미술학과 학술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