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다문화가족, 새로운 한국시민

원문정보

Multi-cultural Family and New Korean Citizens

김연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last half century in Korea is marked by a taboo that both explicitly and inadvertently discriminates mixed-blood group due to its traditional ethnic and cultural homogeneity. Recent surge in multicultural interactions within Korean society such as international marriages are instigating significant alterations. As a result, the role of multiculural family in Korean society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Although the notion of mixed-lineal children so called "Kosian" or "Onnurian" has been in existence for some time, the term "multicultural children" became a preferable candidate to denote the particular social group. The euphemistic term then is applied indiscriminately and often foments a certain degree of confusion. In this paper, the term "multicultural family"will represent a family whose members possess cultural and lineal diversity rather than all kinds of immigrants including foreign worker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address widespread predicament in which many "multicultural families" undergo in Korea. Thanks to several ongoing initiatives by Korean government, including Korean language programs and cultural experiences opportunities, many such problems are alleviating. However, unilateral assimilation effort may undermine their heritage and put them into further distress. The mutual respect of cultural differences is the genuine solution to establish a balanced and impartial relation between the mainstream and the minority. The presence of multicultural families as new Korean citizens will highly stimulate the dynamic nation.

한국어

오늘의 한국사회는 단일민족을 고집하기 어려울 정도로 급속하게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이제는 혼혈가족을 한국사회에서 배제하거나 주변적 존재로 내몰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이러한 상황 변화에 즈음하여 혼혈이라는 용어가 담고 있는 편견과 차별을 타파하기 위해 많은 시도가 이루어졌으며, 그 중 하나가 다문화가족이란 용어의 등장이다. 다문화가족이라는 표현은 혈연적 관계보다는 가족안의 문화적 다양성을, 결혼의 방식보다는 결혼의 결과를 중시한다는 점에서 나름대로 장점이 있다. 그런데 다문화가족의 범주를 규정하는데 있어서 많은 이견이 있다. 다문화가족은 용어의 원래의 의미에서 ‘그 안에 문화적 다양성이 존재하는 가족’에 한정해 사용하는 것이 마땅하다. 다문화가족은 일시적인 사회적 현상도 아니며 당분간 지속적으로 확대되어갈 우리 사회의 새로운 가족 형태이다. 그러므로 다문화가족이 직면해 있는 다양한 사회부적응과 어려움을 해소해주는 지원과 동시에 이들이 한국시민으로서의 권리와 주체성이 확보되는 사회적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다문화가족이 명실상부한 진정한 다문화가족이 되기 위해서는 가부장적인 질서의 가족을 넘어서서 가족 간의 문화적 차이가 존중되고 부부 간의 평등한 가족문화가 정착되어야만 가능하다. 동일한 한국인이면서 사회 혹은 가족 안에서 ‘주류-소수자’라는 구분으로 고착되어서는 진정한 의미에서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가족은 불가능한 것이다.

목차

1. 머리말
 2. 순혈 민족주의를 넘어 다문화 시민사회로
 3. 혼혈가족에서 다문화가족으로
  1) 다문화가족이라는 용어의 탄생
  2) 다문화가족의 범주
 4. 다문화가족: 더불어 살아야 할 가족
  1) 다문화가족에 대한 관심의 필요성
  2) 가부장적 가족을 넘어 진정한 다문화가족으로
 5.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연권 KIM YEON KWON. 경기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