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광고 메시지 유형에 따른 설득 효과 : 설득의도의 접근성과 자아 브랜드 연결성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Persuasive Effects of Advertising Message Type : The Moderating Roles of Persuasion Knowledge Activation and Self-Brand Connections

김지원, 김정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suasive effects of advertising message type(narrative/non-narrative) known to cause different kinds of information processing. Addition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accessibility of the ulterior persuasive attempts on the activation of persuasion knowledge based on the persuasion knowledge model and self-brand conne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narrative ad, compared to non-narrative ad, generated significantly high message transportation, attitude toward the ad and the brand. Second, the narrative ad generated high message transportation regardless of the level of accessibility of the persuasive attempts, while non-narrative ad generated significantly low message transportation when the accessibility of the persuasive attempts was high. Third, narrative ad generated significantly high brand attitude when self-brand connection was high. Fourth, three way interactions of ad message type, the accessibility of the persuasive attempt and self-brand connection were significant in message transportation and attitude toward the ad.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광고 메시지 유형(내러티브/비내러티브)에 따른 설득 효과를 설득의도의 접근 성과 자q아브랜드 연결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전반적으로 비내러티브 광고보다 내러티브 광고의 설득 효과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내러티브 광고의 경우 설득의도 접근성에 상관없이 비내러티브 광고의 경우보다 메시지 몰입이 유의미하 게 높게 나타난 반면, 비내러티브 광고의 경우 설득의도 접근성이 높을 때의 메시지 몰입이 설득 의도 접근성이 낮을 때 보다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셋째, 내러티브 광고의 경우 자아 브랜 드 연결성이 높을 때의 브랜드 태도가 자아 브랜드 연결성이 낮을 때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 났는데, 메시지 몰입에서는 그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반면 비내러티브 광고의 경우는 자아 브랜드 연결성이 높을 때가 낮을 때보다 메시지 몰입 및 브랜드 태도 모두 유의미하게 높게 나 타났다. 넷째, 광고 메시지 유형, 설득 의도 접근 성 및 자아 브랜드 연결성이 설득 효과에 미치 는 삼원상호작용효과는 메시지 몰입과 광고 태도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1) 내러티브 광고
  2) 내러티브 광고의 설득과정
  3) 메시지 몰입
  4) 설득지식의 활성화
  5) 자아 브랜드 연결성
 3.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
 4. 연구 방법
  1) 사전 조사
  2) 본 실험설계
  3) 실험 참가자
  4) 실험물 제작
  5) 주요 변인의 정의 및 측정
 5. 연구결과
  1) 응답 문항의 신뢰도 검토
  2) 실험물의 조작점검 결과
  3) 연구가설 검증
 6. 결론
  1) 연구의 요약 및 논의
  2)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지원 Kim, Jiwon. 중앙대학교 대학원 광고홍보학과 석사
  • 김정현 Kim, Junghyun. 중앙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