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諧音을 활용한 중국문화학습 지도 방안 연구

원문정보

活用諧音的中國文化敎學方案硏究

해음을 활용한 중국문화학습 지도 방안 연구

한아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언어는 사회의 생활양식과 문화에 영향을 받는다. 문화에 대한 이해 없이 외국 어를 학습한다면 단편적이고 얕은 지식에 머물게 될 것이다. 우리가 수준 높은 외국어를 구사하기 위해서는 그 언어를 모국어로 하는 나라의 일상생활과 문화 를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의 외국어에 대한 이해 도를 높이기 위해 올바른 문화교육을 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즉, 문화적인 요 소를 학습하지 않고서는 효율적인 의사소통능력향상이라는 중국어교육의 궁극 적인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문화를 학습한다는 것은 의사소통능력향상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교사는 언 어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선정해야 한다. 특히 중국어에서‘해음(諧 音)’현상은 중국인의 생활문화 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중국 문 화와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해음(諧音)’이란, 음이 같거나 비슷한 것을 이용하여 표현효과를 높이는 일종 의 수사방법이다. 즉, 본래의 글자나 단어를 대신하여 그 음이 같거나 비슷한 새 로운 글자나 단어를 연상하게 함으로써 하고 싶은 말의 뜻을 나타내는 일종의 수 사기법이다. 해음(諧音)은 단기간에 형성되지 않았으며 오랜 기간 사용해왔고, 중국인들 사이 에 해음(諧音)에 대한 공통된 인식을 바탕으로 성립된 언어이다. 따라서 학습자가 문화를 학습하게 되는 계기로 언어에 대한 깊은 이해와 학습에 대한 흥미 또한 높아 질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중국어 검정 교과서 13종에 수록된 해음 (諧音)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문화 수업의 방안을 마련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중국어

語言反映社會的文化差훗以及社會圈子里所形成的特定民族心理和規律. 語言 不是單純的交流方式. 爲流暢地進궋溝通幷了解一[16]國家的文化. 文化敎育就起着 重要的作用. 學習漢語的時候, 如果不了解對方國家的社會文化背景, 幷且文化背 景不同情쾣下, 認識過程中就可能會産生誤差或其즻聯想. 外語敎育的目標是以通過學習語言걐學習外國文化. 1997年第七次外語敎育課 程中提出了把文化分넙爲語言資料的굄一[16]領域, 充分反映及認定了文化敎育的 比重和必要性. 諧音是指語言運用中借助于發音相同或相近的語音特点걐表達意思的一죹修辭 手段. 諧音大多通過聯想的方式, 由某實物的語音想到쨘之語音相同或相似的굄一 詞的詞義. 諧音作爲一죹語言現象普遍存在于各죹語言之中, 而在漢語中尤其多 見. 例如, 中國人向往發財而偏愛겤字‘8’, 對韓國人걐說却沒有什뮥特別意義. 如 果不能理解對方文化, 學生탹難達到學外語的最終目標. 本걩文的目的就是通過分析中學漢語課本的諧音, 硏究漢語敎育活用方案.

목차

1. 서론
 2. 諧音의 종류와 의미
 3. 諧音을 활용한 중국어 수업
 4. 諧音을 활용한 수업지도 방안
 5.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中文摘要

저자정보

  • 한아영 Han, Ah-young. 경기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