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전통미술과 근대미술 속에 반영된 여성이미지 - 성의 탈각화와 성적 극대화 속에서의 여성 표상

원문정보

Women Images Reflected in Korean Art History

박영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female body has often been reproduced in art history. Many reproduced images of the body have been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discourse about the body. A style embracing the body as a significant aesthetic element and subject matter is closely associatedwith views of women. The female body is represen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ime and space, but has also been repeated in a certain frame. During the Joseon period images of women were addressed in art, and represented in the frame of Confucian values and ideas. A virtuous woman with persistence and integrity and a devoted daughter-in-law; a wise mother and good wife dedicated to child-rearing and housework; a Korean geisha and a woman appearing in a portrait of a beauty were represented through male desire and interpretation at the time. These images are of women tamed by a feudal patriarchal system. These women images, however, remain limited. In modern times male artists view the female body from the eye of creative subject, objectifying it. Such images present women as objects or objects for appreciation. Femininity represented by male artists is insubstantial and a fabricated image. Femininity represented here is objective, not subjective; a femininity through the male eye. In spite of changed social situations and ideas, when compared with modern female images, Joseon’s images of females remained unchanged, and repetitively represented in a few similar modes. Such images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art history are similar to those of traditional society. Women images, represented throughout Korean art history, appear hackneyed, confined to an invariable frame. In a patriarchal, male-dominated society, images of females are still represented through male desire and interpretation, rather than as individuals and subjects. Such images appearing in artworks of the times are products of the consciousness toward women male artists, spectators, and members of society share. We see the world through representation, making rather than reflecting reality.

한국어

본 졸고는 조선시대와 근대기에 표상된 여성이미지를 탈성적 측면과 성애적 측면으로 구분해서 살 펴보고 그 이미지가 결국 남성가부장적 시선에 의해 변함없이 재현되어 오고 있음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미술사 속에서 재현된 여성이미지는 오랜 세월동안 거의 불변하는 일정한 틀 속에서 상투적으로 재현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처럼 한국 전통미술과 근대미술사에서 여성 표현의 문제는 당대의 남성=사회가 여자 를 보는 인식과 매우 유사한 맥락에서 표출되어 나온다. 전통사회와 근대 사회가 분명 다름에도 불구하고 또한 서구 근대미술이 일본을 통해 수용 되어 이전과는 다른 미술개념이 들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여성을 보는 관점 은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이 무척 흥미롭다. 전통사회에서 사적인 문제로 치부되었던 여성의 문제가 근대기에 와서 본격적으로 공적인 영역에서 부 상되었고 그에따라 다양한 여성이미지가 생산, 유포되었지만 그로인해 표 상된 여성이미지는 전통사회에서 여성을 보는 관점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이다. 여전히 강고한 가부장제와 남성 중심적 문화 속에서 여성이미지는 개인으로서, 주체로서의 몸으로 재현되기 보다는 남성들의 욕망과 해석 속에서 재현되어 왔던 것이다.

목차

1. 서론
 2. 전통사회와 근대기 여성이미지의 공유성
 3. 가부장적 이념에 의한 탈성적 여성이미지
  1) 열녀이미지와 현모양처상
  2) 일하는 여자상
  3) 양육하는 어머니상
 4. 성애적 여성이미지
  1) 미인도
  2) 기생도
  3) 여성 누드화
 5. 나가는 글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s

저자정보

  • 박영택 Park, Youngtaek. 경기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