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WSDL 기반의 시맨틱 웹 서비스 온톨로지 구축 방법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WSDL-based Ontology Construction for Semantic Web Service

강수호, 이현정, 손미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we suggest WSDL-based Ontology construction algorithm for semantic web service to maintain web service on the Web. The algorithm is composed of three parts. First, this is to build of basic skeleton of Ontology in the specific domain. It is named by Skeleton Ontology. The algorithm uses a WSDL document (which is called by ‘base-WSDL ontology’) to build the Skeleton Ontology. Second, this part supports extension of the Ontology using the Skeleton Ontology. To abundant the Ontology, the algorithm extract classes and properties from all of collected WSDL documents except the ‘base-WSDL ontology’in the domain and add those to the Skeleton Ontology. It is called by Service Ontology. Finally, when applying of Service Ontology to whole of WSDL documents is completed, it is called by Service Ontology.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WSDL-based Ontology construction algorithm, the algorithm is applied to camera domain and the newly generated ontology is compared with the existing reference ontology using Hit ratio and Precision. The result of Hit ratio is 57.2% and Precision is 81.5%. We conclude that the WSDL-based Ontology construction algorithmclearly discriminate the classes and subject-object relation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웹 상에 존재하는 웹 서비스들을 자동적으로 발견, 조합 및 실행하고자 하는 시맨틱 웹 서비스(semantic web service)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온톨로지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현재까지는 시맨틱 웹 서비스 구현을 위한 온톨로지가 지식 공학자에 의해 구현되었다면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지식공학자의 온톨로지 구현을 보다 쉽게 가능하게 할 수 있는데 의미가 있다. 제안되는 알고리즘으로 생성되는 온톨로지는 골격 온톨로지(Skeleton ontology), 서비스 온톨로지(Service ontology) 및 도메인 온톨로지(Domain ontology)로 구성된다. 골격 온톨로지는 시맨틱 웹 서비스 구현을 위한 기본 온톨로지로 탐색된 WSDL 도큐먼트들 중 핵심 클래스를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는 문서를 이용해 구성된다. 서비스 온톨로지는 골격 온톨로지의 생성에 활용한 ‘base-WSDL 도큐먼트’를 제외한 나머지 WSDL 도큐먼트들을 이용해서 골격 온톨로지를 확장함으로써 생성한다. 이때 클래스들 간의 ‘주체-객체관계(subject-object relation)’ 및 인스탄스들이 정의되고 고려된다. 도메인 온톨로지는 모든 WSDL 도큐먼트들에 서비스 온톨로지가 적용되었을 때 생성 완성된 온톨로지이다. 본 연구의 우수성 검증을 위해 ‘Semantic Service Selection(http://www-ags.dfki.uni-sb.de/~klusch/s3/index.html)’에 구축되어 있는 ‘카메라 온톨로지’의 참조 온톨로지와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을 이용해 자동적으로 구축한 온톨로지 간의 유사도를 클래스들과 ‘주체-객체관계’ 관점에서 ‘Hit ratio’와 ‘Precision’을 평가하였다. 온톨로지를 본 연구에서 제공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해 자동 구축하였을 경우 평균 ‘Hit ratio’는 57.2%, 평균 ‘Precision’은 81.5% 이다. 본 알고리즘이 지식공학자의 온톨로지 생성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국문 요약
 I. 서론
 II. 관련 연구
  2.1 웹 서비스 및 시맨틱 웹 서비스
  2.2 온톨로지 구축 방법론
 III. 시맨틱 웹 서비스 온톨로지 구축 알고리즘
  3.1 방법론 구축의 기본 가정
  3.2 온톨로지 정의 및 자동생성을 위한 전체적인 구조
  3.3 골격 온톨로지 자동 생성 알고리즘
  3.4 서비스 온톨로지자동 생성
  3.5 도메인 온톨로지자동 생성
 IV. 알고리즘을 적용한 예제
  4.1 클래스들과 인스탄스의 정의
  4.2 ‘ObjectProperty’와 ‘DatatypeProperty’식별
  4.3 ‘hasValue’와 ‘onProperyty’ 식별
  4.4 서비스 온톨로지 생성
 V. 알고리즘 비교 및 검증
  5.1 클래스 및 ‘subject- object relations’의비교 및 검증
  5.2 개념 계층 구조 비교
 VI. 결론 및 향후 연구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수호 Kang, Suho. 성균관대학교 산업공학과 석사과정
  • 이현정 Lee, Hyun Jung.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연구교수
  • 손미애 Sohn, Mye. 성균관대학교 시스템경영공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Automatic ontology-based knowledge extraction from Web documents네이버 원문 이동
  • 2Bouhissi, H. E., M. Malki, and Bouchiha D. (2009), “Towards WSMO Ontology Specification From Existing Web Services,” CIIA 2009.
  • 3Composing Web services on the Semantic Web네이버 원문 이동
  • 4Ding, Y., Fensel D., Klein M. and Omelayenko B.(2002), “The semantic web: yet another hip?,” Data and Knowledge Engineering, 41, 205-227.
  • 5The Ontolingua Server: a tool for collaborative ontology construction네이버 원문 이동
  • 6Grüninger, M. and Fox M. S.(1995), “Methodology for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Ontologies,” International Joint Conference on Artificial Inteligence IJCAI95, Workshop on Basic Ontological Issues in Knowledge Sharing.
  • 7Hotho, A., Maedche, A., and Staab, S.(2001), “Ontology-based text clustering,” Proceedings of the IJCAI-2001 workshop text learning: Beyond supervision, Seattle.
  • 8Khan, L. and Luo, F.(2002), “Ontology construction for information selection”, Proceedings of the 14th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ools with aritificial intelligence, Washington, DC 122-127.
  • 9Kietz, J. U., Maedche, A., and Volz, R.(2000), “A method for semi-automatic ontology acquisition from a corporate intranet,” Proceedings of the EKAW’2000 workshop on ontologies and texts. France: Juan-les-Pins.
  • 10Marta, S.(2006), “Building Web Service Ontologies,” PhD Thesis, Vrije Universiteit Amsterdam.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