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D투자와 수출의 생산효율성 제고 효과 - SFA기법을 활용한 실증분석 -

원문정보

Effects of R&D and Exports on Technical Efficiency Using Stochastic Frontier Approach

신범철, 이의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determinants of technical efficiency of Korean manufacturing firms over the period 2000~2005, focusing on the effects of R&D expenditure and exports. In particular, the paper comparatively analyzes the technical efficiency of large firms and SMEs (small medium sized enterprises) by using the micro panel data. Two main approaches to the systematic measurement of production technical efficiency have been developed in the economic literature: DEA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SFA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The former involves the application of the linear programming technique to trace the efficiency frontier, while the latter applies the econometric technique to estimating the various production frontiers. However, the usefulness of DEA for modeling technical efficiencies has been controversial, specially among econometricians. The main drawback of DEA is that any deviation of an observation from the production frontier must be attributed to inefficiency. Therefore, there is no provision for statistical noise or measurement error in the model. For this reason, we employ parametric SFA to measure the technical efficiencies. In analyzing the technical production efficiency, many studies employ two-step estimation method. In the first step, they estimate a stochastic production function and predict firm level efficiencies using various forms of production functions. Then, in the second step, the predicted efficiencies are regressed on firm-specific variables in identifying any sources for differences in predicted efficiencies across firms. However, the two-step method can suffer an inconsistency problem caused by assuming individual independence of the inefficiency effects in both estimation stages. To alleviate this inconsistency problem, we estimate simultaneously a stochastic frontier production function and the technical inefficiency model by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The empirical results of the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the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ignoring firm-specific heterogeneity in estimation of production function allowing for technical inefficiencies may lead to biased estimates of technical inefficiency. Second, production technology of manufacturing firms during the sample period is found to be progressive and translog production function can represent firm technology better than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 could. Given the translog production function, the hypothesis that manufacturing firms have no technical inefficiency can be rejected statistically. This implies that the stochastic fron tier approach might be more appropriate rather than the standard production function approach. Third, exports expansion would not lead to an increase in technical efficiency of manufacturing firms over the period after Korea's financial crisis. Fourth the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n inverse U shape of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technical inefficiencies and the size of the firm. This implies that an expansion of firm size may worsen production technical efficiency over some level of firm size. Finally,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R&D expenditure would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echnical efficiency in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but not in large firms. This suggests that government subsidy for enhancing productivity would be more effective in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than in large firms.

한국어

이 논문은 2000~2005년 기간 동안 한국 제조업체의 R&D투자와 수출의 확대가 생산의 기술적 효율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률변경분석(SFA) 기법을 활용하여 실증·분석하였다. 특히, R&D집중도와 수출비중이 생산효율성에 미치는 효과를 중소기업과 대기업을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이 연구의 핵심적인 결과를 요약하면, 우선 수출과 R&D, 그리고 생산성간의 관계를 분석함에 있어서 기업 간 기술적 이질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산업별 기술적 효율성에 관한 분석만으로 기업의 고유한 특수적 상이성을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보이고 있다. 둘째, 고려된 표본기간 내에서 국내 제조업체의 생산기술은 기술진보적이며 콥-더글라스 형태보다는 초월대수 생산함수가 보다 적합함이 통계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려된 모든 유형의 생산함수에서 기술적 비효율성이 없다는 귀무가설이 통계적으로 기각될 수 있었다. 이는 국내 기업들이 비효율적으로 생산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생산함수를 사용하는 것보다 확률변경 생산함수를 사용하여 추정하는 것이 보다 적합함을 의미한다. 셋째, 전체적으로 수출비중은 통계적으로 기술적 효율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업의 매출액 대비 수출 증가가 기업의 생산 효율성을 오히려 떨어뜨린다는 것이다. 이 결과는 한국의 수출 증대가 생산성 향상과 고용 증가를 유발한다고 하더라도 기술적 효율성에는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넷째, 생산의 기술적 효율성과 기업규모는 逆U자형의 비선형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생산의 효율성이 증대되지만 일정 수준 이상으로 확대될 경우 오히려 효율성은 증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제조업체 전반적으로 R&D집중도는 생산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규모에 따라 구분해서 보면 R&D집중도 증가가 중소기업에서는 생산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대기업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부의 R&D 지원이 대기업 보다는 중소기업에서 생산효율성 제고 효과가 크게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국문 요약
 I. 서론
 II. 선행연구 검토
 III. 분석모형 및 추정방법
 lV. 자료 및 추정결과
 V. 요약과 결론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저자정보

  • 신범철 Cin, Beom-Cheol. 경기대학교 경상대학 경제학과 교수
  • 이의영 Lee, Eui-Young. 군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제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