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미래 현금흐름의 예측을 위한 회계이익과 현금흐름의 상대적 정보성

원문정보

The Relative Informativeness of Accounting Income versus Cash Flows about Future Cash Flows

표영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oth the Statement of Financial Accounting Concepts by the FASB and the Financial Accounting Concepts Framework by the KAI (Korean Accounting Institute) claim that current accounting earnings are more useful than current cash flows in predicting future cash flows.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is claim is plausible. All the previous studies use their estimated cash flows by adjusting relevant balance sheet items to income statements in the Compustat data base. According to Bahnson et al. (1996), the estimated cash flow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reported in the statement of cash flows by enterprises. Thus, this study uses cash flows reported in the statement of cash flows by enterprises. The overall results show that current cash flows are more useful than current earnings in predicting future cash flows. The study also examines whether th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respect to prediction horizons, the size of accruals and the length of operating cycles, which are used in Dechow (1994). The results are similar to the overall results, regardless of the three factors. In conclusion, contrary to the claims of the FASB and the KAI, current cash flows have a greater predicting ability about future cash flows than accounting earnings, regardless of the length of prediction horizons, the size of accruals and the length of operating cycles.

한국어

미국의 FASB에서 제정한 재무회계개념서와 우리나라의 회계기준원(KAI)에서 제정한 재무회계개념체계에서는 발생회계에 의한 회계이익이 현금기준에 의한 현금흐름보다 미래 현금흐름의 예측에 더 유용하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이들의 주장이 옳은지를 조사한다. 이를 조사한 연구가 우리나라에는 없고 미국에 있지만, 미국 연구에 사용된 현금흐름은 손익계산서의 회계이익에 대차대조표의 비현금 유동항목들을 조정하여 계산한 추정치이다. 그런데, Bahnson 등(1996)에 의하면, 이런 추정치는 추정오류로 인해 기업이 현금흐름표에 직접 보고한 현금흐름과 상당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기업회계기준이 요구하는 대로 기업이 직접 보고한 현금흐름표의 현금흐름을 이용하여 현재의 회계이익과 현재의 현금흐름 중 어느 것이 미래의 현금흐름을 예측하는 데 더 유용한지를 조사한다. 전반적인 조사결과에 의하면, 현재의 현금흐름이 현재의 회계이익보다 미래 현금흐름을 예측하는 데 더 유용하다. 아울러 미래 현금흐름의 예측에 관련된다고 생각되는 세 가지 요소인 예측기간의 길이, 발생액의 크기 및 영업주기의 길이에 따라 회계이익과 현금흐름의 상대적 예측력이 영향을 받는지를 조사한다. 조사결과, 이들 요소에 관계없이 미래 현금흐름에 대한 현재 현금흐름의 예측력이 현재 회계이익의 예측력보다 더 크다. 결론적으로, FASB와 KAI의 주장과는 상반되게, 미래 현금흐름에 대해 현금흐름의 예측력이 회계이익의 예측력보다 더 크다.

목차

국문 요약
 I. 서론
 II. 선행연구 검토와 연구가설
  2.1 선행연구의 검토
  2.2 연구가설
 III. 자료수집과 검증모형
  3.1 표본선정 및 자료수집
  3.2 검증모형
 IV. 결과
  4.1 기술적 통계치
  4.2 전반적 결과
  4.3 발생액이 예측력에 미치는 영향
  4.4 영업주기가 예측력에 미치는 영향
  4.5 추가분석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표영인 Pyo Youngin. 강원대학교 경영대학 회계학전공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