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Anti-corporate emotion is believed widespread across Korean society in the wake of various kinds of injustice and corruption scandals that involve some big businesses. Many discussions have focused on the cause and effect of anti-corporate emotion or how to mitigate anti-corporate emotion, therefore,these normative have studies fail to measure this emotion. Thus, the initial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ti-corporate emotion scale. Based on psychology of emotion, this study describes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easures to assess anti-corporate emotion. In order to conduct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cale, two interviews with expert group were done. This group consisted of two persuasive communication professors, two public relations professors,and one methodology professor. Through these interviews and literature review on anti-corporate emotion,17 items were generated. With 17 item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ith a varimax rotation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AMOS 16.0 were computed. Scale development procedures resulted in a three-factor, eight-item scale that conforms with psychology of emotion. In detail,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showed that Korean anti-corporate emotion is composed of anti-corporate cognition, anti-corporate feeling, and anti-corporate behavioral tendency. This study also computed analysis of variance (ANOVA)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participants on anti-corporate emo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age, region, and education on anti-corporate emotion. But, in terms of sex and household income, there were differences:male's anti-corporate feeling is more serious than female; the lowest class' anti-corporate feeling is more serious than the highest class. With all the brisk discussions on anti-corporate emotion in the academic community and the business community, there have been few researches that sought to conceptually define anti-corporate emotion and empirically study it. Thus, this study's findings are worth noting: that anti-corporate emotion consists of anti-corporate cognition, anti-corporate feeling, and anti-corporate behavioral tendency. In order to comprehend Korean anti-corporate emotion accurately, continuous longitudinal research with more samples is required. Additionally, future research should test whether other variables can moderate assessment of anti-corporate emotion.
한국어
우리나라 기업의 CEO들은 한국인의 반기업정서가 기업활동을 하는 데 매우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반기업정서가 높은 편인가’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63.8%가 그렇다고응답하기도 한다. 반기업정서는 단순히 존재할 뿐만 아니라 한국인의 경제관 중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라는 지적도 있다. 반기업정서에 관한 다양한 논의에도 불구하고 많은 연구들이 반기업정서의 원인과 결과,해결 방안 등과 같은 규범적 차원의 연구에 머물고 있다. 이 연구는 정서(emotion)는 최소한 인식과 행동은반드시 포함하는 복수의 요인으로 구성된다는 정서심리학 분야의 기존 연구를 기반으로, 반기업정서가 인식의 차원, 감정의 차원, 행동경향성의 차원으로 구성된다고 가정한 후, 반기업정서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 개발을 시도했다.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항목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등을실행한 결과, 총 8개의 항목을 포함하는 3개의 요인구조(반기업인식, 반기업감정, 반기업적 행동경향성)의적합성이 타당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렇게 개발된 반기업정서 척도를 활용해 주요 인구통계학적 특성(성,연령, 지역, 학력, 소득)에 따라 반기업정서의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해 보았다. 이 연구는 반기업정서가 복수의 차원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규명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 반기업정서 척도를 개발하고 개발한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했다는 점 등에서 의미를 지닌다.
목차
I.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II. 이론적 논의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4.1 반기업정서 척도의 항목분석 및 항목 -전체항목 상관관계 분석
4.2 반기업정서 척도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
4.3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반기업정서의 차이
V. 결론 및 과제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