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朝鮮刊 『選賦抄評注解刪補』引 『楚辭』 各篇之考實

원문정보

Textual Criticism of Xuanfu Chaoping Pizhu Shanbu Quotedfrom Chuci and Printed in Chosun Era

조선간 『선부초평주해산보』인 『초사』 각편지고실

賈捷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Xuanfu Chaoping Pizhu Shanbu(Deleting and Adding Commentary of Selected Works) which was circulated in Chosun era included three versions, namely written edition, offical edition and folk printed edition. This was a process of recarving, deleting and adding up for various versions, ranging from being written by hands, locally printed in official houses to being printed in the folk houses. Xuanfu Chaoping Pizhu Shanbu, mainly on fu (descriptive prose interspersed with verse) from Wenxuan (selected proses), added other proses outside Wenxuan. The official edition only selected one prose, namly Lisao Jing from Chuci, while the folk house printed edition added Jiuge Jiuzhang, and Tianwen from Chuci. The version of Xuanfu(Selected Works)was not the same as Chuci,but both official and folk printed versions identifies Lisao Jing, Jiuge, Jiuzhang, Tianwen as a piece of fu (descriptive prose interspersed with verse). Besides, Xuanfu(Selected Works), whose explanatory notes were completely based on Zhuxi’s Chuci Jizhu, was likely to be deleted and added up according to Yang Shanglin’s Chuci Jizhu reprinted in Chosun era. The explanatory notes of various chapters of Chuci in Xuanfu Chaoping Pizhu Shanbu was reasonably deleted and changed, sometimes mistakenly removed. However, compared with Jiuge, Jiuzhang and Tianwen of folk printed edition, Lisao Jing of official edition contained much less commentary errors. In addition, Lisao Jing of official edition was not deleted, collated and phonetically notated in such a large quantity in every chapter as Chuci of folk printed edition. Therefore, Xuanfu Chaoping Pizhu Shanbu had important literature value not only in exploring the acceptance of Lisao Jing, Jiuge, Jiuzhang and Tianwen in Chosun era, but also in canonizing Zhuxi’s annotation.

한국어

조선시기에 유통된 『선부초평주해산보(選賦抄評註解刪補)』는 필사본, 관판본, 방각본 세 종류가 있다. 『선부초평주해산보』는 필사본이 먼저 유통되었다가 지방 관아에서 목판본으로 간행하였고, 후에 또 방각본이 간행되면서 내용의 증보가 발생하였다. 『선부초평주해산보』는 『문선』 중의 부(賦) 작품들을 위주로 선별하여 수록하였고 『문선』 외에 기타 부 작품들도 추가하였다. 이 책의 관은본은 『초사(楚辭)』속의 「이소경(離騷經)」 한 편만을 수록하였고, 방각본에는 「이소경(離騷經)」 외에 또 『초사』속의 「구가(九歌)」, 「구장(九章)」, 「천문(天問)」을 더 추가하였다. 이로부터 『선부초평주해산보』는 비록 직접 『초사』를 저본으로 간행한 것은 아니지만 모두 『초사』속의 「이소경」, 「구가」, 「구장」, 「천문」을 부 작품으로 인정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초사』 작품의 주해(注解)도 주희의 『초사집주(楚辭集注)』를 바탕으로 주석하였는데 조선 시기에 복각한 주희 『초사집주』양상림(楊上林) 간본을 저본으로 하여 수정하였을 것으로 본다. 『선부초평주해산보』의 주해에는 정확하고 합리적인 산삭도 있지만, 잘못된 삭감도 있다. 관판본 속의 「이소경」 주석에는 오류가 비교적 적고, 방각본 속의 「구가」, 「구장」, 「천문」의 주석에는 상대적으로 잘못된 부분이 많다. 그 외에 방각본의 「구가」, 「구장」, 「천문」 각 편은 많은 부분을 삭감하고 교감과 주음을 하였는데, 관판본 속의 「이소경」에는 이런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조선시기에 간행한 『선부초평주해산보』간본은 조선시기의 『초사』의 「이소경」, 「구가」, 「구장」, 「천문」의 수용과 주희의 집주를 높이 평가하는 양상을 연구하는 면에서 매우 중요한 문헌적 가치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序言
 2. 『選賦抄評注解刪補』官版本引「離騷經」之考實
 3. 『選賦抄評注解刪補』坊刻本引「九歌」「九章」「天問」之考實
 4. 結語
 參考文獻
 中文摘要
 Abstract

저자정보

  • 賈捷 가첩. 연세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