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崔忠傳>과 일본의 관계

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between <ChoiChungCheon(崔忠傳)> and Japan

<최충전>과 일본의 관계

유광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reated in 16th century Joseon was called by diverse titles in a transmission with Korean letter and Chinese character, and some of those variations are called ‘ChoiChungCheon(崔忠傳)’. There has been a serious error in debating or claiming the system of remake by regarding as a one written in Joseon. In this article, 6 types of adaptations was collected, organized and analyzed. Including a printed book published in 1883 at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ston Edition, Waseda Edition, Tokyo University Edition, Kyoto University Edition Simsukwan Edition and etc was precisely compared and analyzed, resulting that these adaptations were perfectly the same except lexical differences. Also, all of these editions had close relationship with Japan but not with Joseon, and revealed that not only they were passed down in Japan, but also the person who kept, and the one who wrote this book were deeply related with Japan, not Joseon. It has been a while since transmitted and during this period, Waseda Edition was written in 1750, Tokyo University Edition in 1873 and Printed Book was published in 1883. Considering the collected year of Aston Edition, even though it is not the written year, it is noticeable that it has been almost no variation during about 150 years of succession. The reason for the stability of these adaptations despite of more than 100 years of transmission, is because they thought as an important text, which used as a textbook to train Joseon language interpreters.

한국어

16세기 조선에서 창작된 <최고운전>은 한문본, 한글본으로 전승되면서 다양한 제명으로 불렸는데, 그 중 ‘최충전’이란 제명을 지닌 일련의 이본들이 있다. 그동안 <최충전>을 조선에서 필사된 것으로 여겨 <최고운전> 이본의 계통을 세우거나 논의하는데 심각한 오류가 있었다. 본고에서는 <최충전> 이본 6종을 수집ㆍ정리ㆍ분석하였다. 1883년 일본외무성에서 간행된 활판본을 비롯하여, 아스톤본, 와세다본, 도쿄대본, 교토대본, 심수관본 등 6종의 이본을 면밀히 비교ㆍ대조하여 분석한 결과, 이들 <최충전> 이본들은 단순한 조사 같은 어휘적 차이를 제외하고는 완벽하게 부합하는 이본임을 밝혀냈다. 또한 이 이본들은 모두 조선이 아닌 일본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데, 전승된 곳이 일본일 뿐만 아니라, 소장한 인물, 필사한 인물 등이 모두 조선이 아닌 일본과 관련 깊음을 알아냈다. <최충전>이 일본에서 전승된 것은 오래되었는데, 와세다본이 1750년에 필사되었고 도쿄대본이 1873년, 활판본이 1883년에 간행되었다. 필사연도는 아니나 수집연도가 1900년인 아스톤본까지 감안해 보면, 대략 150년 정도 전승되면서도 그 변이의 폭이 거의 없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100년 이상 전승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본적 편폭이 거의 없었던 것은 <최충전>을 중요한 텍스트로 인식했기 때문이고, 그것은 <최충전>을 조선어 통역관 양성을 위한 교재로 사용했기 때문이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최충전> 이본 현황
 3. <최충전>과 일본의 관계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유광수 Gwang-Su Yu. 연세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