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 해비타트 III과 새로운 도시의제

도시 포용성 구성개념과 지표체계의 개발 : 한국의 포용도시 의제 설정을 위하여

원문정보

Development of the Construct of Urban Inclusivity and its Indicators System: For the Inclusive City Agenda in Korea

박인권, 이민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the need for the New Urban Agenda for Korean cities is rising with the Habitat III conference, this study tries to set the agenda of the inclusive city as an alternative city vision by conceptualizing the construct of urban inclusivity and operationalizing it through the development of an indicator system. First, it defines the concept of the inclusive city based on revisiting various discussions on social exclusion and integration in cities, and proposes capacity building, interdependence, participation and spatial openness as four dimensions for urban inclusivity. The dimension of capacity building consists of income, health, education, and cultural capabilities; interdependence consists of fair division of labor and social reciprocity; participation consists of degree of involvement and allocation of power; and spatial openness consists of affordable housing, external interaction, and spatial integration. We evaluated the relative importance and relevance of the four dimensions, 11 components, and 33 indicators through consultation with experts and AHP analysis of their surveys. The results show that capacity building is the most important and interdependece and participation are almost equally important as two separate dimensions. Affordable housing is highlighted in the dimension of spatial openness.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indicators, this study suggests a urban inclusivity indicators system(UIIS) with the relative importance for the indicators used as weights to provide foundation for subsequent studies.

한국어

해비타트 III 회의를 계기로 우리 도시에 적합한 ‘새로운 도시 의제’ 설정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 연구는 우리 도시의 현안문제를 해결할 대안적 도시 비전으로서 ‘포용도시’ 의제 설정을 위해 ‘도시 포용성’의 구성개념을 정립하고 지표체계의 개발을 통해 이를 조작화하고 있다. 먼저 도시의 사회적 배제와 통합에대한 다양한 논의를 종합하여 포용도시 개념을 정의하고, 도시 포용성의 차원으로 역량 형성, 상호의존, 참여, 공간적 개방을 도출한다. 여기서 역량 형성은 다시소득, 건강, 교육, 문화 역량으로 구성되고, 상호의존은 공정한 분업과 사회적 호혜로, 참여는 실제 참여도와 권력 분배로, 그리고 공간적 개방은 저렴한 주거, 외부지향성, 공간 통합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도시 포용성의 4대 차원과 11 대 구성요소, 그리고 이들을 측정할 33개의 세부지표의 상대적 중요도와 적합도를 평가하기 위해 전문가 자문회의 및 AHP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는 한국의도시의 포용성을 구성하는 데 가장 중요한 차원이 역량 형성이며, 상호의존과 참여도 독립된 두 차원으로서 거의 동등하게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공간적 개방차원에서는 저렴한 주거공급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지표들에 대한 이러한중요도 및 적합도 평가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지표별 중요도를 가중치로 갖는도시 포용성 지표체계를 제시하며 후속연구를 위한 기초를 제공한다.

목차

요약
 1.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도시 포용성에 관한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1) 사회적 배제와 포용도시 의제
  2) 도시 포용성의 차원과 구성요소
 3. 도시 포용성 지표의 설정 및 평가방법
  1) 지표의 선정 및 지표체계의 설정
  2) 지표의 적합도 및 중요도 평가 방법
 4. 지표 평가 및 도시 포용성 지표체계 개발
  1) 도시 포용성 지표의 적합도 및 중요도
  2) 결과 해석 및 도시 포용성 지표체계
 5. 결론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인권 Park, In Kwon. 서울시립대학교 도시행정학과 부교수
  • 이민주 Lee, Minju. 서울시립대학교 도시행정학과 박사 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