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양자역학으로 본 평화의 의미

원문정보

Meaning of Peace based on Quantum Mechanics

진성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Normally, ‘Peace Studies’ has been researched through view of point of social science. However, in this paper, “Peace Studies” is treated viewpoint of Natural Science. Specially, this paper tried to apply to ideology and studies of peace and logic and wisdom of research gained from the course of an argument of the history of science. So far, Science technology has been applied many times for peace pursuit, however, there were no case to apply to peace ideology build through an argument of the history of science, so, this paper might be limited to some field. Actually, this paper is recognizing the gap between pure science and a peace issue and natural science and social science. So, quantum mechanics were used as a model tool for solution. First, this paper is organized an argument on quantum mechanics between Einstein and the Copenhagen School which was the apex of science revolution and appreciated the scientific substantial point on realism and a positivism of quantum mechanics. And tried to understand through modern physics substantial point to accept an issues of discussion. Second, through discussion of previous chapter, will analyze the science revolution character through paradox of standard theory and quantum mechanics’s substantial viewpoint. Through this analysis, it will produce peace theory with coexistence and unification against conflict and opposition. This paper will begin under the subject “What is the science”. Generally, ‘science’ is translating ‘science’ in English and ‘Science’ is translating ‘wissenschaft’ in Germany, In a broad sense, science is systematic knowledge under goal of discovery of universal truth and law. In this sense, humanities,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etc. may be included within science scope but generally, science is calling the natural science in narrow sense. In this paper, science is treated as typical natural science as well, specially, will be limited within modern physics. Natural science is meaning physics, chemistry, biology, astronomy and earth science which are researching a theory on natural law and truth based on natural phenomenon. Originally, Aistoteles said that the first philosophy is ‘metaphysica’, so, ‘the first philosophy’ positioned to last part, however, his disciples emphasized word ‘meta’ and interpreted in terms of “transcend the natural studies” and first philosophy was named as metaphyiscs. In this sense, natural studies of Aristoteles is physical science, so, physics and natural science have been used as name of natural philosophy before recognition of independent academic field. Before segmentation of title as physics, Masterpiece of Newton’s classical mechanics “philosophiae naturalis principia” which had renowned by principia had published as name of ‘natural philosophy’ nor physics. In the modern philosophical logic, meta language and object language are used respectively. Natural science is related with object language which indicating for natural phenomenon and philosophy is treating an object language itself which related with meta language. Even we could not apply to Russell theory which was used separately by meta or object language, philosophy and humanities are different with natural science which handles object language, so, we need to consider that humanities is belonging to scope of science which has been used under name of human science.

한국어

본고는 일반적으로 사회과학의 주제로 인지되는 평화의 문제를 자연과학의 시각에서 고찰 하고, 과학사의 논쟁과정에서 얻는 탐구의 논리와 지혜를 평화의 이념이나 평화연구에 적용해 보려는 시도로 마련된 것이다. 과학기술을 평화에 이용하려는 관점에서 과학을 다루는 시도는 많겠지만 과학의 논쟁사를 통해 평화의 이념을 구축하려는 시도는 흔치않을 것이고, 그만큼 본 고의 논의는 한계를 지니지 않을 수 없다. 논자는 이처럼 맛 닿을 수 없는 순수과학과 평화문제 의 거리감은 물론, 넘을 수 없는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의 공고한 벽을 실감하며 그 해결책의 일 환으로 양자역학의 모델을 주제로 다루려한다. 첫째로, 논자는 20세기 과학혁명의 정점인 아 인슈타인과 코펜하겐 학파의 양자역학에 대한 불꽃 튀는 논쟁을 정리하고, 그 논쟁에서 나타난 양자역학의 실재론과 실증론에 대한 과학적인 실체관을 음미하고, 그 논의의 쟁점을 수용하며 현대 물리학의 실체관을 새롭게 이해하는 지평을 마련해 보려 한다. 둘째로, 전장의 논의를 통 해서 야기된 양자역학의 실체관과 표준이론이 남긴 패러독스, 그리고 과학혁명의 성격을 분석 하고, 그 분석을 통해 대립과 갈등을 공존과 통일로 이끄는 평화의 이념을 도출해 보일 것이다. ‘과학이란 무엇인가’ 라는 정의로 부터 시작하기로 하자. 일반적으로 영어로 science라고 번 역되고, 독일어로 wissenschaft 로 번역되는 넓은 의미의 과학은 보편적인 진리나 법칙의 발 견을 목적으로 한 체계적인 지식을 말한다. 그런 의미에서 인문학이나 사회과학, 자연과학 등 여러 학문을 과학의 영역에 포함시킬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과학이란 ‘자연과학 natural science’ 이라는 통상적인 좁은 의미로 사용한다. 본고에서 다루는 과학도 통상적 의미의 자연 과학을 말하며 특히 현대물리학의 주제로 제한하여 다룰 것이다. 자연과학은 물리학, 화학, 생 물학, 천문학, 지구과학 등 자연현상을 대상으로 한 학문으로 자연의 합법칙성에 대한 이론을 연구하는 분야를 의미한다. 원래 아리스토텔레스는 제일철학을 ‘메타피지카metaphysica’라 고 칭하고, 자연학(physica)의 ‘맨 뒤(meta; after)’에 제일철학을 배열하는 서지학적 의미로 사용하였다. 그런데 후에, 그의 제자들이 '메타meta'라는 말을 강조하여 자연학을 ‘초월한다 (메타meta)’라는 의미로 해석하여 제일철학을 형이상학(metaphysics)이라고 명명하였다. 그런 의미에서 볼 때 아리스토텔레스에 있어서 자연학은 형이하학(形而下學)인 바, 자연과학 이 독립된 학문분야로 인정되기 전까지 물리학이나 자연과학은 ‘자연철학’의 명칭으로 사용되 었던 것이다. 물리학(physics)이라는 명칭이 세분되기 이전, ‘프린키피아principia’로 널리 알 려진 뉴턴 고전역학의 명저인 ‘자연철학의 원리philosophiae naturalis principia’도 물리학 이 아니라 자연철학이라는 이름으로 출판되었다. 현대의 논리철학에서 ‘메타언어 meta language’와 ‘대상언어 object language’를 구분해 서 사용하고 있는데, 자연과학은 자연현상을 지시하는 대상언어와 관련된 학문이라면 철학은 대상언어 자체를 다루는 메타언어와 관련된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대상언어와 메타언어를 유형적으로 나누는 럿셀의 방식을 적용하지 않더라도, 철학이나 인문학은 대상언어를 다루는 자연과학과 다르기 때문에 ‘인문학’을 과학의 영역으로 분류해서 ‘인문과학’이라는 명칭을 사 용하는 것은 숙고해 보아야 할 과제라고 본다.

목차

요약
 Ⅰ. 양자역학의 실재론과 실증론
 Ⅱ. 과학혁명으로 본 평화의 이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진성배 Sungbae Jin. 통일사상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