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한국어
아도르노는 현대를 비판한 대부분의 사회 비평가처럼 현대문명 특히 이성에 의한 인간역사의 진보에 대해 회의적이다. 인간 이성은 그 간교한 꾀로 소유와 지배를 강화해왔음을 주장하면서 그 예를 오디세이에서 찾고 있다. 아도르노는 이 이야기를 우리의 일반적 시각처럼 귀향이라든, 지영웅의 행적을 그린 서사시로 국한시켜 보지 않고 신화와 서사시가 결합된 문명화의 과정을 그린 이야기로 보고 있다. 또한 그는 오디세우스를 모험과 용기와 기지를 부여받은 영웅으로 보기보다는 교환과 노동, 이성을 사용해 고통을 극복해 가는 부르주아의 한 전형으로 보고 있다. 아도르노는 이 이야기를 통해서 자본주의 과정, 계몽화의 현상을 탐색하는 한편 인간이 이성과 노동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세우는 계몽이 갖는 또 다른 부정적인 면을 찾아내고 있다. 즉 그 부정적인 것으로는 이성이 갖는 간교한 면과 교환을 통한 동질화 그것이 목적하는 소유와 지배의 원리인 것이다. 아도르노의 이와 같은 사회, 역사이론은 그의 예술론을 탄생시키는 모체이다. 즉 그의 문명 비판은 예술을 통해 치유된다. "예술은 사회를 재현하고 비판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모든 종류의 억압으로부터 자유롭게 만들어야 한다"는 그의 예술철학에는 막스 철학으로부터 나온 자본과 계급에 대한 그의 뛰어난 관찰력이 있으며 아울러 모더니스트로서의 순수와 자유에 대한 열망과 사회 개선의지도 존재한다. 한편 그는 니체적 비판 에너지로 자아와 사회에 대한 객관화와 투명성을 확보하려 한다. 그러나 아도르노 예술이 지향하는 마지막 단계는 자연의 모방이다. 그는 자유와 조화를 찾을 수 있는 공간을 인간세계를 포용할지라도 인간 세계와 동질화 될 수 없는 자연에서 찾고 있다. 결국 아도르노 미학의 귀착점은 인간 문명에 내재된 억압을 해체시키는 것과 아울러 자유와 조화로 가득 찬 자연과 음악의 선율을 닮은 미적 세계를 창조하는 것이다. 셰무스 히니의 시는 아도르노의 이 같은 예술관을 적용시킬 수 있는 대표적 예 일수 있다. 그 이유는 히니 시는 아일랜드 역사가 지닌 억압적 구조를 재현하면서 또 한편으로는 그것으로부터의 탈출을 시도하기 때문이다. 즉 그의 시집에는 자연과 인간, 인간과 인간, 인간과 사회, 한 개인과 공동체 사물 및 언어등 인간 사이의 지배와 억압 구조를 재현할 뿐 아니라 순수 예술을 통해 자신과 사회의 객관화와 투명화를 확보하려는 끊임없는 노력을 보이며 궁극적으로는 소유와 지배 구조를 초월하려는 시도를 보이기 때문이다. 결국 아도르노와 히니의 사고 전개 과정, 특히 예술론은 같았다. 즉, 그들이 추구한 예술은 사회의 억압기재를 관찰하고 비판하면서 순수와 자유를 자연을 모방하는 데서 찾은 점에서 그렇다. 아도르노는 서구사회의 억압적 요인을 계몽화와 자본주의 과정에 내재된 소유와 지배욕으로 보았고, 히니는 아일랜드의 피지배 역사, 종교, 정치, 종족이 갖고 있는 편견, 언어, 사물을 바라보는 시각 속에 잠재 되어 있음을 파헤친다. 아도르노는 순수와 자유를 음악의 선율에서 찾은 반면 히니는 언어가 해체된 이후의 선, 점, 공간 및 이미지로 구성된 추상시에서 찾고 있다. 특히 이 둘의 사고의 방향이 같은 이유는 이 둘 모두 나찌와 북아일랜드 사태라는 역사 속의 큰 억압을 몸소 경험한 것이 하나의 원인이고 이와 더불어 이 둘 모두, 전통에 대한 의식의 바탕에 주관의 객관화를 통한 인간 세계를 개선하려는 열정이 있었으며 마지막으로 이 둘 모두 인간을 감쌀 수 있는 화해와 포용의 공간인 자연에 대한 감수성이 탁원한데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목차
II
III
Works Cited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