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problem of human’s position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western existential philosophy and Korean modern thought, Donghak. The issue of human’s positionality is an existential discussion about human nature. That is, this is a discussion about the existential being itself called human. This discussion inquires the meaning of existential human being.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demonstrated human being. This is the same as questioning the human nature. Second, it discussed about the matters of existential life from the perspective of western existentialism. The matter of existential life is the discussion of the positionality of human existence. Third, it was a reflective discussion on ‘myself’. Fourth, it discussed the matter of existential human beings from the perspective of Dongha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existential life of human existence begins with self-reflection or self-awareness. This means to deny the self of a passive life. This denial makes one to live a new life. This makes one to live independent life. Living an independent life is the same as existential human life. It is the existential positionality of human. And this is my own existential positionality. This ideological tendency appeared in western existential philosophy and in Donghak thought.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인간의 위상 문제를 현대 서양 실존주의 철학과 한국의 현대 사상인 동학의 관점에서 조명하는 것이다. 인간 위상의 문제는 곧 인간 본질에 대한 실존적 논의이다. 이는 곧 인간이라는 실존적 존재 자체에 대한 논의이다. 실존적 인간 존재란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에 대한 논의이다. 이 연구의 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에 대하여 조명했다. 이것은 인간의 본질에 대하여 질문하는 것이다. 둘째, 실존적 삶의 문제에 대하여 서양 실존주의 관점에서 논의했다. 실존적 삶의 문제는 인간 존재의 위상에 대한 논의이다. 셋째, ‘나 자신’에 대한 반성적 논의였다.넷째, 실존적 인간 존재의 문제를 동학사상의 관점에서 논의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간 존재의 실존적 삶은 자기반성이나 자각에서 시작한다. 이는 수동적인 삶을 사는 자신을 부정하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부정은 곧 새로운 삶을 살게 한다. 주체적인 삶을 살게 한다. 주체적인 삶을 사는 모습이 바로 인간의 실존적인 삶이다. 인간의 실존적인 위상이다. 그리고 나 자신의 실존적 위상이다. 이러한 사상적 경향이 서양 실존주의 철학과 동학사상에서 나타났다.
목차
I. 들어가는 글
II. 형이상학적인 존재로서의 ‘인간 존재’
III. 실존주의적 인간 존재
IV. 동학에서 나타난 실존주의적 인간 존재
V. 나가는 글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