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김산 소모영의 설치와 동학농민군 진압 활동

원문정보

The Installation of Gimsan Somo Military Camp and Suppressing Activity toward Donghak Peasant Army

이병규

동학학회 동학학보 제41호 2016.12 pp.95-12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gress of installation of Gimsan Somo military camp and its suppressing activity toward Donghak Peasant army, focusing on Somosasil . Gimsan, Kyeongsang-do, borders Kyeongsang-do and Chungcheong-do, which is also close to Jeolla-do. Gimsan has a significant role in understanding Donghak Peasant Revolution. However, recently Somosasil was discovered, in which the official documents exchanged between Jo Siyoung appointed as Gimsan Somo army official, and agencies of various levels were recorded from November 21st, 1894 to January 22nd, 1895. The followings are the contents of this study. First, Gimsan Somo military camp, whose installation was decided on November 13rd, 1894, started its actual activity from December 1st until January 23rd, 1895. Its size was about 300 members. Second, Gimsan Somo army official, Jo Siyoung didn’t directly take part in the battles but instead the captain of the troop played an active role in the battle. Third, the purpose of installation of Gimsan Somo camp was to block the path of Northern Donghak troops heading north from entering the inland of Kyeongsang-do.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Gimsan Somo military camp started to put emphasis on suppression activity toward Donghak Peasant armies since after December 20th, 1894, when Donghak Peasant armies were defeated at Jonggok Battle in Boeun. Second, during this process, the Chosun Government imposed the cost of suppression on people completely and confiscate the properties of the Donghak leaders, allocating it to the military budgets. Third, it was shown that Donghak Peasant troops of Jeolla-do led by Kim Gae-nam and troops of Kyeongsang-do were connected together, and it was also shown that Donghak Peasant troops of Gimcheon, Kyeongsang-do, called themselves servants of Kim Gaenam. This is an important task to be solved in studying Donghak Peasant Revolution.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소모사실」을 중심으로 김산소모영의 설치과정, 김산소모영의 동학농민군 진압활동을 살펴보는 것이다. 경상도 김산은 경상도와 충청도의 접경으로서 전라도와도 가까운 위치에 있다. 동학농민혁명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김산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김산소모사로 임명된 조시영이 1894년 11월 21일부터 1895년 1월 22일까지 각급 기관과 주고받은 공문을 날짜별로 기록해 놓은「 소모사실」이 발견되었다. 이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1894년 11월 13일 설치가 결정된 김산소모영은 12월 1일부터 실제 활동을 시작하여 1895년 1월 23일까지 활동을 전개했다. 김산소모영의 규모는 약 300명이었다. 둘째, 김산소모사 조시영은 직접 전투에 참여하지 않고 유격장이 전면에 나서 활동을 전개했다. 셋째, 김산소모영의 설치목적은 북상하던 북접동학군이 경상도 내륙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김산소모영은 보은 종곡 전투에서 동학농민군이 패한 1894년 12월 20일을 기점으로 활동의 전환이 이루어져 이후부터는 동학농민군 진압활동에 중점을 두게 되었다. 둘째, 이 과정에서 조선정부는 진압에 소요되는 비용을 철저하게 백성들에게 부담시켰으며 동학지도자들의 재산을 몰수하여 군수비용 등에 충당했다. 셋째, 또한 김개남의 전라도 동학농민군과 경상도 동학농민군이 연결되어 있으며 경상도 김천의 동학농민군들이 김개남의 신하를 자처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는 앞으로 동학농민혁명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김산 소모영의 설치
 3. 김산소모영의 활동
  1) 북접 동학군의 방어
  2) 동학농민군 진압과 향촌사회 통제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병규 Byeong-gyu Lee.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연구조사부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