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Gimcheon, and how this historical fact could be introduced to local residents of Gimcheon and visitors using the effective cultural contents. Though the study on the history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around Gimcheon was done from early, it only remained in the academical area and there were not many opportunities to introduce it to the general public. Therefore,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in showing the fact that Gimcheon is the area where the struggles and fights were intense since the time when Donghak was first propagated until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e followings are the contents of this study. First, the activities of Donghak leaders(Daejeopju) were actively done, with their several bases around Gimcheon government office. Second, in early August, 1894, Daejeopju Pyeon Boeon with the biggest power among all Donghak members, installed Daedoso at Gimcheon market, which was a transportation hub. Third, when Choi Sihyung’s ‘Giporyeong to nationwide Donghak believers’ was delivered to Gimcheon on September 24th, Pyeon Boeon immediately delivered it to other Donghak leaders in nearby districts and led the armed resistance. Though Donghak peasant troops occupied Seonsan Fortress, many of Donghak peasant troops were sacrifced due to the defeat from the surprise attack of Japanese troops. Besides this, according to Japanese record, there were many Donghak peasants shot around Gimcheon and Gaeryung.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material for developing cultural contents about the history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Gimcheon, and for this, there should be more extensive study done for local history of Gimcheon. Additionally, there should be some explanatory signboards installed around historic sites, and based on this, there should be some tourist routes developed for local cultures or for historical experience around historic sites. For the next step, by making the process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Gimcheon into a story, it should be produced into various cultural contents such as information pamphlet about the history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Gimcheon, tourist maps with themes, leaflets, comics, media using CD, and documentaries, leveling it to sharing targets’ level of education or ages.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김천 동학농민혁명사적 전개 과정을 살피고, 이런 역사적 사실을 효과적인 문화 콘텐츠를 활용하여 김천 지역 주민 및 이 지역을 찾는 사람들에게 ‘역사적 사실’을 널리 알리는 데 있다. 김천 지역 동학농민혁명사 연구가 일찍부터 이뤄졌으나 다만 학문적 영역에 머물렀고, 일반 시민들에 게 알려질 기회가 별로 없었다. 따라서 이 글의 의의는 김천 지역이 동학 포교시기부터 동학농민혁명 시기에 이르기까지 투쟁활동이 치열했던 지역이라는 사실을 드러내는데 있다. 이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1894년 봄에는 김천 관아 인근 여러 곳에 거점을 둔 동학 대접주들의 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둘째, 1894년 8월 초에 동학교도 세력이 가장 컸던 편보언 대접주가 교통 요지인 김천장터에 대도소를 설치했다. 셋째, 9월 24일, 최시형의 ‘전국의 동학교도 기포령’이 김천에 전달되자 편보언은 인근 지역 접주들에게 이를 즉시 전하고, 무장 투쟁에 나섰다. 동학농민군이 선산읍성을 점령했지만 일본군의 기습공격으로 패하여 많은 동학농민군이 희생되었다. 이밖에도 일본군 기록에 따르면 김천과 개령에서 많은 동학농민군이 총살되었다. 이 연구의 가치는 김천 동학농민혁명사에 대한 문화 콘텐츠를 개발 기초 자료로 활용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먼저 김천 지역 역사 연구 과정이 더 폭넓게 이뤄져야한다. 이어 관련 사적지 안내판이 설치돼야 하며, 이런 토대 위에 지역 문화 관광 코스를 개발하거나, 사적지를 중심으로 역사체험의 답사 코스 개발이 필요하다. 다음 단계로, 김천 동학농민혁명 전개과정을 스토리텔링화 하여, 공유 대상의 연령이나 교육 수준에 맞춰 김천 지역 동학농민혁명사 안내 소책자, 테마 관광지도, 리플렛, 만화, CD매체, 다큐멘터리 동영상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로 제작하여 보급하거나 인터넷을 통해 홍보돼야 한다.
목차
1. 서론
2. 김천 동학농민혁명의 전개 과정
1) 시대 사회적 배경
2) 동학 포교 시기
3) 보은취회 등 교조 신원운동 시기
4) 1894년 동학농민혁명 초기 동학교도의 움직임
5) 1894년 동학농민혁명 시기 동학농민군 활동
6) 1894년 동학농민혁명 시기 경상감영 및 향촌 보수집단의 대응
7) 관 일본군 및 보수 집단의 동학농민군 토벌 과정과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3. 김천 동학농민혁명사 문화 콘텐츠 방안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