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스토리텔링으로 구성한 조선시대 서소문 지역 민중사 전개과정

원문정보

The Development Process in History of People in Seosomun Area in the Joseon Dynasty Composed of Storytelling

채길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rea outside of Seosomun and Seodaemun in Joseon Dynasty is the place painful history of people is carved. In the course of suffering from Japanese invasions of Korea and the Manchu war of 1636, a country came to be devastated and the economy got impoverished as well. It was people themselves who got over such hardship instead of national ruler. For this, rank system started to totter and government was also threatened. People started to insist on distorted reality of society, setting absolute obedience toward government power aside. The emergence of Donghak bearing ideology of equality and the Roman Catholic served as significant origin. The feudal conservative ruling class considered Roman Catholic and Donghak followers as target of execution. There was a prison imprisoning the prisoners in Seosomun area and outside of Seosomun, there was an execution ground cutting off the head of prisoners. They hung the head on tripod in order to keep strict watch to people. The cases including executions caused by struggles to open the new world in the Joseon period are as follows. In 1618, Heo Gyun strenuously insisting on social reform was executed in front of all the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of the court. From Catholic Persecution of 1801 up to 1839, 1866, and 1871, 84 Roman Catholics died for their believes in several areas out side of Seosomun. In 1811, Hong Gyeong-Rae and leaders rebelling at the Pyong An area were executed outside of Seosomun. In August 3 1868, Jeong Deok-Gi, Yun Nae-Hyeong and Park Un-Su were executed outside of Seosomun. It was the case intending to break down incompetent and corrupt regime through making the most of a chance of foreign invaders such as General Syeomeon ship case etc. In May 1871, Lee Pil-Jae punished deputy delegate and occupied government office for the sake of Doctrine Identity Movement on territorial waters but came to be caught. They were executed outside of Seosomun. In 1881, Hong Jae-Hak who appeared li learning of following Japanese westernization as representative Confucian scholar was executed. In 1882, In order to punish corrupt government official, soldiers on military camp that defended capital city during Joseon dynasty rebelled and the government became threatened, resulting in queen`s escape case. The relevant leaders were executed outside of Seosomun. In 1884, For political reform, the pioneers made uprising(Gapsin Coup) and key figures in the government were murdered. The leaders of this case were executed outside of Seosomun. In October and December 1984, An Seung-Gwan, Kim Rae-Hyeon, Kim Gae-Nam and Seong Jae-Sik , An Kyo-Sun, and Choi Jae-Ho etc were sent to Seoul and executed. They were shown to people outside of Seosomun. In 1895, the Donghak leaders such as Jun Bong-Jun, Son Hwa-Jung, Kim Duck-Myung, Choi Kyung-Sun, and Sung Du-Han were executed. However, the execution place and status of their heads` being shown to people did not become known. In 1894, 1895, the period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Donghak party leaders’ rebelling in castle town in Seoul were executed. However, the execution place and status of their heads` being shown to people did not became known. In 1898, upon the end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dependence Club desiring for democratic political power appeared. Joseon government arrested 17 executives and imprisoned or executed them outside of Seosomun. In August 1897, as a result of resisting on compulsory dispersion of army of Korean empire pushed ahead as a way of Japanese Joseon invasion, the battle occurred between Japanese army and Joseon army. The Joseon army were sacrificed unilaterally and the bodies were left as they were for over one month. From that time on, independence movement was carried out nationally. In 1898, Choi Si-Hyung, religious sect leader of Donghak second generation was imprisoned and executed. The area of Seosomun in Joseon period is ‘historical place’ occurring the executions of people who insisted on for the sake of social reform in frequent succession. In this place, ‘commemoration park and memorial hall’ honoring the memory of all victims should be constructed apart from.

한국어

조선시대 서소문 및 서대문 밖 지역은 민중의 아픈 역사가 새겨진 곳이다. 조선후기에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국토가 황폐화 되었고, 경제도 피폐해졌다. 이런 고난을 극복한 것은 국가 통치자가 아닌 민중 자신이었다. 이에 따라 계급 체계가 흔들리기 시작했고, 정권도 위협 받기 시작했다. 민중들은 국가 권력에 절대 복종이 아닌 모순된 사회 현실에 저항하기 시작했다. 평등사상을 지닌 동학과 천주교의 등장도 중요한 원인이 되었다. 이렇게 되자 봉건 보수 지배계층은 개혁주의자들이나 천주교도와 동학교도를 처형 대상으로 삼았다. 조선시대에 서소문 지역에는 죄수를 가두는 감옥이 있었고, 서소문 밖에는 죄수의 목을 베는 처형장이 있었으며, 저잣거리에 삼각대를 세워 머리를 매달아 사람들을 경계했다. 조선 시대에 새로운 세상을 열기 위해 투쟁하다가 주동자들이 처형된 사건은 다음과 같다. 1618년, 사회 개혁을 주장했던 허균이 만조백관 앞에서 공개 처형되었다. 1801년 신유박해에서부터 1839년, 1866년, 1871년까지 60여 년 동안 천주교 신자 84명이 서소문 밖 여러 지역에서 순교했다. 1811년, 평안도 지역에서 난을 일으킨 홍경래와 주동자들이 처형되어 서소문 밖에 효시되었다. 1868년 8월 3일, 정덕기 윤내형 박윤수가 서소문 밖에서 참수되었다. 이들은 제너럴셔먼호 사건 등 잦은 외세 침입의 어수선한 틈에 무능하고 부패한 정권을 무너뜨리려던 사건이었다. 1871년 3월, 이필제는 영해에서 교조신원운동을 위해 영해 부사를 처단하고 관아를 점령했다. 이필제는 끝내 붙잡혀 서울로 압송되어 처형된 뒤 서소문 밖에 효시되었다. 1882년에 부패한 관리를 처단하기 위해 훈련도감의 군병들이 난을 일으켜 정권이 위협을 받게 되었고, 민비(왕비)가 피신하는 사건(壬午軍亂, 임오군란)이 일어났다. 주동자들이 서소문 밖에서 처형되었다. 1881년, 일본의 서구화를 따르자는 위정척사를 상소한 유학자 홍재학이 처형 되었다. 1884년에 정치개혁을 위해 선각자들이 정변을 일으켰으며(甲申政變, 갑신정변), 정부 요인들이 살해되었다. 이 사건 주동자들이 서소문 밖에서 처형되었다. 1894년 10월에 수원의 동학지도자 안승관 김내현이, 12월에 동학지도자 김개남 성재식 안교선 최재호 등이 서울에 압송되어 처형되었고, 서소문 밖에 효시 되었다. 1895년 전봉준과 손화중 김덕명 최경선 성두한 동학지도자들이 교수형으로 처형되었다. 그러나 이들의 처형 장소와 머리가 효시되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1895년, 1894년 동학농민혁명 시기에 서울 도성 안에서 난을 일으켰던 ‘동학당 주동자’들이 교수형에 처해졌다. 그러나 역시 처형지와 머리가 효시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1897년 8월, 일본이 조선침략의 일환으로 강행한 대한제국 강제 군대 해산에 저항하여 서소문에서 일본군과 조선군 사이에 전투가 벌어져 조선군이 일방적으로 희생되었고, 시체가 1개월이 넘도록 서소문 밖에 방치되었다. 이때부터 전국으로 독립운동이 전개되었다. 1898년, 동학농민혁명이 끝나자 민주주의 정권을 염원하는 독립협회가 생겨났다. 조선 정권은 독립협회 간부 17명을 체포하여 서소문감옥에 투옥하거나 서소문 밖에서 처형했다. 1898년에 동학 2세 교주 최시형이 서소문 감옥 생활을 했고, 동학지도자 서장옥 손천민이 처형되었다. 조선시대에 서소문 지역은 사회 개혁을 위해 저항한 민중들의 참형이 빈번하게 일어났던 ‘역사의 현장’이다. 이 장소에 ‘가톨릭 순교자들만을 기억하는 장소’가 아니라 ‘모든 희생자들을 추념하는 기념 공원 및 기념관’이 건설되어야 한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조선시대 역사적 배경과 서소문
  2.1 조선시대의 역사적 배경과 서소문
  2.2 조선시대 서소문 지역의 역사적 의미
  2.3 조선시대 서소문 지역의 감옥과 처형장
 3. 조선시대, 새 세상을 꿈꾸는 자들의 투쟁과 희생
  3.1 개혁을 외친 허균
  3.2 신유박해에서 병인박해까지, 천주교 교도들의 참형
  3.3 새로운 세상을 갈망했던 홍경래
  3.4 개항 시기, 반봉건 반외세 투쟁자의 처형
  3.5 영해 교조신원운동과 이필제의 처형
  3.6 임오군란과 주동자 처형
  3.7 1881년, 위정척사를 상소한 홍재학의 처형
  3.8 갑신정변을 주도한 혁신주의자들의 희생
  3.9 서울 도성 안에서 동학당과 통모한 ‘경성 습격 사건’
  3.10 수원 동학지도자 안승관 김내현의 효수와 효시
  3.11 동학지도자 김개남 성재식 안교선 최재호의 효수와 효시
  3.12 전봉준과 손화중 김덕명 최경선 성두한 동학지도자의 재판과 처형
  3.13 군대 해산과 서소문 남대문 전투
  3.14 독립협회와 서소문 감옥
  3.15 최시형의 서소문 옥중 생활과 처형
  3.16 충청도 동학지도자 서장옥 손천민의 처형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채길순 Gil-Soon Chae. 명지전문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0,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