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북한지역 자연환경 우수지역 평가지도 작성

원문정보

Mapping the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Outstanding Areas of North Korea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김근한, 이은정, 정휘철, 전철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Environmental planning based national land planning is essential as a means of conservation of national land and the prevention of destructing the natural environment from rapid national land development, especially after the unification. For such national land planning, objective natural environment assessment of North Korea’s territory should be prepared. Therefore in this study, a methodology to assess natural environmental outstanding areas of North Korea was suggested. 30 indicators were selected and were used to assess the natural environment outstanding areas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he probability map of natural environment outstanding areas and the ROC analysis showed accuracy of 89.4% and 96.1%, respectively. For the verification of accuracy,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high conformity with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ECVAM), and was able to conclude that the top 40% values from the assessment can be classified as natural environment core areas and top 60% values be classified as natural environment buffer areas.

한국어

향후 통일이후 북한지역의 급격한 국토개발로 인한 자연 환경 훼손을 미연에 방지하고 한반도의 균 형 있는 국토의 보전과 관리를 위해서는 환경계획 기반의 국토계획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환경계획을 위해서는 다양한 환경공간정 보를 이용한 국토의 자연환경 우수지역 평가지도 작성은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북한지역의 자연 환경 우수지역 평가지도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자연환경 우수성 평가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평가에 필요한 평가항목들을 선정하고, 해 당 평가항목들을 수집 및 구축하였으며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남북한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자연환경성 우수지역 평가를 수행하였 다. 평가결과 로지스틱회귀분석 적합성 모형은 89.4%의 분류정확도가 나타났으며, ROC 분석결과 정확도가 96.1%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 구의 결과를 국토환경성평가지도 환경생태적평가와 비교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자연환경 우수지역 평가지도 결과가 북한지역의 환경계획에 활용이 가능 할 수 있는 정확도를 나타내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출한 자연환경 우수지역 평가지도의 40% 이상의 우수지역을 자연환경 핵심 우수지역으로 지정하고, 60%까지의 완충 자연환경성 우수지역으로 지정하여, 추후 단계적으로 핵심 자연환경 우수지역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방법
 II. 선행연구
  1. 자연환경성 평가
  2. 식생지수
 III. 자료 및 방법론
  1. 자료수집 및 구축
  2. 자연환경 우수지역 평가 방법론
 IV. 자연환경 우수지역 평가결과
  1. 북한지역의 자연환경 우수지역 평가결과
  2. 검증방안
  3. 정책적 활용 방안
 V.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근한 Geunhan Kim.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박사과정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원
  • 이은정 Eun Jung Lee.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원
  • 정휘철 Huicheul Jung.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
  • 전철민 Chulmin Jun.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