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독립영화의 생산과 재현 공간에 대한 연구 - 1980~1987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Production and Represented Places of Korean Indie Films - Focucing from 1980 to 1987 -

정민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eriod of Chun Doo-hwan regime, 1980~1987, is usually considered as a dark age in Korean films, but it was also a time when an internal driving force was being prepared for the upcoming new wave of Korean films.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discuss Korea’s early independent films which as a film movement of the established system got its momentum with changes in political situation and cultural policies. ‘Place’ is a tool to analyze the films of this period. Place meaningful to human beings is not a natural place but a place constructed by social mechanism, and this social place produces a complex of social structures. In the structured place that incorporates a whole of social system and structure we can read a certain period’s institutions, power structure, symbols, ideologies and cultures. The independent films contributed to create and expand alternative screening spaces such as university campuses, labor union offices, farming villages’ community halls, and catholic and protestant churches, and they motivated discussions not just on film aesthetics but also on alternative distribution and screening. The represented places in the independent film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suburban areas, streets and alleys, and enclosed places. Suburban areas are represented as places of the others who had been driven out of cities, the streets as places for the struggle for democracy, and the enclosed places as places of torture and horror.

한국어

전두환 정권기인 1980~1987년은 양적, 질적으로 한국영화의 암흑기로 인식되지만, 이 시기는 이후 태동하는 새로운 한국영화를 견인할 내부 동력을 갖추어나가고 있던 시기라고 볼 수 있다. 본고는 이 시기의 정치적 변화, 문화정책적 변화로 인해 활력을 가지게 된 제도권 바깥의 영화운동, 즉 초기 독립영화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이 시기의 영화를 읽는 방법론으로 ‘공간’을 가져온다. 사람에게 의미 있는 공간은 자연의 의해 주어진 공간이 아니라 사회적 메커니즘에 의해 조성된 공간이다. 이때 사회적 공간은 복잡한 사회구조를 만들어낸다. 당대 사회 전체의 질서와 구조를 담은 체제 공간을 통해 제도, 권력, 상징, 이념, 문화 등을 읽어낼 수 있다. 본고는 정치적 변화와 길항관계에 있던 제도권 바깥의 영화 생산 환경과 영화 속에 재현된 공간을 중심으로 1980년대 한국 독립영화를 읽는다. 독립영화는 대안 상영공간을 만들고 확장하였는데, 대학 캠퍼스, 노동조합 사무실, 농촌 마을회관, 성당과 교회 등에서 영화 상영을 실행함으로써 영화미학뿐 아니라 대안 배급과 상영에 대해 총체적으로 사고하였다. 독립영화 재현 공간은 크게 세 개의 공간, 즉 도시 주변부 공간, 거리와 뒷골목 공간, 폐쇄 공간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영화에서 도시 주변부 공간은 중심에서 주변부로 밀려난 타자의 공간으로, 거리와 뒷골목 공간은 민주화 투쟁과 범죄의 공간으로, 그리고 폐쇄 공간은 고문과 공포, 불안의 공간으로 각기 나타난다.

목차

요약문
 1. 1980-1987년 정치적, 사회적 균열의 공간
 2. 1980-1987 한국영화 정책의 특징
 3. 독립영화 제작과 대안 상영 공간
 4. 독립영화의 재현 공간
  1) 도시 주변부 공간: 불평등한 계급 구조의 시각화
  2) 거리와 뒷골목 공간: 균열된 도시 공간의 은유
  3) 폐쇄 공간: 불안과 공포의 상징 공간
 5.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민아 Jeong, Min Ah. 한양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