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선율(note melody)과 화성(chord harmony)을 통한 인간 뇌의 음악 인식 - 사건관련전위(event-related potentials, ERP)실험의 결과물을 바탕으로 -

원문정보

Music Recognition of the Human Brain through Note Melody and Chord Harmony - Based on the Results of Event-Related Potentials (ERP) Experiments -

남정우, 정원일, 박명관, 조의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usic we listen to everyday contains a formal element that makes a sound stream musical or nonmusical. While recognizing such a formal arrangement of music we can get a musical emotional feeing out of it. But the musical feeling of a sound stream has long been regarded as a result from undergoing a listener's tension-resolution which is attributed to the melodic and harmonic cadent process pattern of the sound stream. Assuming that the point of the resolution, the musical cadence, complies with the resolution pattern, and that the feeling of musical resolution occurs in the listener's brain, we can shed some lights on what the musical cognition is by observing the brain responses at such a point of musical resolution. Using event-related potentials (ERP) experiments we probed into the syntactic formality of music in order to compare it with the syntactic formality of language. In our study we manipulated musical notes and chords, and collected the ERP data of the neural responses to them to ascertain how the musical cognition is characterized.

한국어

우리가 일상을 통해 접하는 음악에 한 소리의 흐름을 음악적 혹은 비음악적인 것으로 들리도록 하는 형식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우리는 그러한 형식적 요소를 인식함으로써 그로부터 유래하는 음악적 감정을 얻게 된다. 이러한 음악적 감정은 감상자가 소리 흐름에 내재하는 선율 및 화성에 의해 전개된 종지형식(cadent process)의 긴장-해소(tension-resolution)감을 느끼는 데에서 비롯된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우리는 화성적 종지형식을 ‘음악적 해소 패턴(musical resolution pattern)’이라고, 또 이러한 음악적 해소가 감상자의 뇌에서 벌어지는 일이라 가정하고, 그러한 음악적 해소가 벌어지는 시점의 뇌반응을 관찰함으로써 ‘음악의 인식(musical cognition)’이 무엇인지를 밝힐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전제를 기반으로 우리는 음악의 뇌반응에 대한 ERP 실험의 결과를 언어의 통사론의 형식성에 대한 연구 결과와 비교했고, 그 과정에서 음악에 있어서의 의미론적 형식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우리 연구는 음악 작품의 선율과 화성을 음악적인 것과 비음악적인 것으로 구분 조작하고, 이로부터 음악적 인식이 어떻게 특정화될 수 있는지 ERP 실험을 통한 뇌신경반응 결과물을 추출하여 언어의 자료들과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졌다.

목차

요약문
 1. 서론
  1) 선행연구 요약
 2. ERP 실험
  1) 참여자
  2) 실험 자료
  3) 실험 절차
  4) EEG 기록
  5) 데이터 분석
 3. 결과
  1) ERP 실험에서의 수용성 판단
  2) ERP (Event-related potentials) 결과
 4. 결과분석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남정우 Nam, Jung Woo. 순천향대학교
  • 정원일 Jeong, Won Il. 동국대학교
  • 박명관 Park, Myung Gwan. 동국대학교
  • 조의연 Cho, Eui Yon. 동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