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학교 신규교사의 학교업무 수행에 대한 질적 연구

원문정보

A Qualitative Research on New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hool Work Performance

정형수, 양정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new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 at schools in terms of their school administrative work performance. In order to examine this research question, an interview was conducted on 8 new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public elementary school in Sarang.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ew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performing school work.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because they did not know how to complete their school works and when they were set in charge of other miscellaneous work duties asides from their official work. Also they had feeling of doubt when they faced with reality that they have to neglect the class for handling other works. Second, new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coping with difficulties in their own ways. They put their efforts to improve their ability to perform work or got help from senior teachers. In other cases, they avoided circumstance that additional work that does not belong to them is given to them by developing own image of them performing work. Third, new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shed to have some help to perform school work smoothly. First of all, they wished things such as appointing mentor teacher in current school. Also, they wanted education office to improve problem in current training system. Also, they wished university of education to be changed to help them to have cognition about school work. The following implication was suggest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First, work assignment has to be made based on wish and work ability of new elementary school teacher. Second, distribution of work that is additional to official division of work has to be made fairly at school. Third, systematic education on school work including current education has to be made from educational university. Fourth, senior teachers have to be assigned for new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get help anytime.

한국어

본 연구는 교직경력 3년 미만의 초등학교 신규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학생지도 외에 학교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그리고 어려움에 대해 어떻게 대처해 나가고 있으며, 업무 수행과정에서 어떤 도움을 받기를 바라는지 등을 살펴봄으로써 그들이 학교업무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랑광역시의 공립초등학교 신규교사 8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신규교사들은 첫 발령을 받고 그들의 희망이 반영되지 않은 업무배정과 그들의 업무능력에 대한 선배교사들의 과도한 기대, 그리고 본인의 공식적인 업무 외 추가업무를 떠맡아야 하는 상황과 학교업무수행에 대한 회의감을 느끼는 상황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어려움에 대해 기존 자료 모방하기, 업무에 결재권자의 의중 반영하기, 업무를 처리하는 자신만의 이미지를 만들어가는 방식 등으로 나름대로 대처해나가고 있었다. 또한 신규교사들은 학교업무를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 근무 중인 학교에 대해서는 멘토교사의 지정, 학년부장교사의 옆 반에 신규교사의 학급 배정 등을 바라고 있었고, 교육청에 대해서는 현행 연수 방식의 개선을, 그리고 교육대학교에 대해서는 학교업무를 인식할 수 있는 교사양성교육이 이루어지기를 바라고 있었다. 그리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업무를 난이도에 따라 서열화하고 교사도 경력에 따라 구분지어 경력이 짧은 신규교사에게는 난이도가 낮은 업무 배정하기, 학기 중 발생하는 추가업무를 배정하는 기준을 새 학년도 업무 분장 시 미리 정하기, 교육대학교에서부터 현직교사 연수까지 학교업무에 대한 체계적 교육이 이루어 질 것과 신규교사를 도와주는 것을 업무로 하는 멘토교사를 지정하여 승진 가산점과 같은 인센티브의 제공하여 신규교사들이 멘토교사에게 부담 없이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할 것 등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1. 초등학교의 업무
  2. 초등학교 신규교사들의 학교업무 적응과정
  3. 신규교사의 학교업무 적응전략
  4. 초등학교 신규교사들의 학교업무 적응을 위한 지원체제에 대한 연구
 Ⅲ.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2. 자료수집 및 분석
  3. 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확보
 Ⅳ. 초등학교 신규교사의 학교업무 헤쳐 나가기
  1. 낯설고 준비 안 된 학교업무 수행하기
  2. 학교업무 수행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대처하기
 Ⅴ. 초등학교 신규교사의 학교업무 지원체제 만들기
 Ⅵ. 결론
  1. 논의
  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형수 Jung, Hyung Soo. 성균관대학교 석사
  • 양정호 Yang, Jung Ho. 성균관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