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갈등과 적응의 진자(振子)운동 : 올드커머 재일한인과 일본 사회

원문정보

A Pendulum Movement of Conflict and Adaptation : Old-comer Korean-Japanese and Japanese Society

송석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ld-comer Korean-Japanese have lived as ‘Zainichi’ and moved back and forth between conflict and harmony as they neither went back to their home country after the World War Ⅱ nor became naturalized as a Japanese citizen. Their lives represented ‘nationality’ and put forward ‘the logic of Korean- Japanese.’ We can find the evidence of ‘the logic of Korean-Japanese’ in getting a job, conditions for moving in public housing, the rights of staying, the national pension, the fingerprinting system, and requiring suffrage. Surely, Korean-Japanese did not make a pendulum movement of conflict and adaptation only between Japanese people in Japanese society. We can detect this kind of pendulum movement in three groups: between the same Korean-Japanese generations, the same generation but at odds among themselves due to ideological confrontations originated from their mother country’s political status, and their relatives living in Korea. Korean-Japanese should lead a life in the multi-layered pendulum movement of conflict and adaptation like this. A shift in generations of Korean-Japanese community and the appearance of new-comers brought about qualitative changes in the life of Korean-Japanese. As the nationality law has been revised and the number of international marriage between Korean-Japanese and Japanese has increased, Korean-Japanese have naturally become Japanese. To Old-comer second or third-generation Korean-Japanese, born and raised in Japan, ‘nationality’ is not what to represent but what to overcome. When they go beyond their country or even nationality, Korean-Japanese seem to pursue transcendence, not betrayal. Anyhow, the life of Korean-Japanese is nothing but routine that ‘hates, admires, is abandoned, identifies, and realizes (Yoon, Keun Cha)’ in a circle of conflict and adaptation, harmony and resistance. Korean-Japanese live a life that admires Japan, identifies Korea, and eventually realizes ‘Zainichi’ and their lives mirror the naked truth of modern Korea and Japan. And at the same time, Korean-Japanese still have a twofold problem: post colonialism and post-Cold War.

한국어

전후(戰後) 모국으로 귀국하지도 하지 않고 일본 국적으로 귀화하지도 않은 채 자이니치를 자각하며 산 올드커머 재일한인의 갈등과 조화 사이를 진자(振子)운동하는삶은 ‘재일의 논리’를 전면에 내세우며 ‘민족’을 표상하는 삶이었다. 취업, 공영주택입주조건, 재류권, 국민연금, 지문날인제도, 참정권 요구 등에서 우리는 이러한 ‘재일의 논리’가 일관되게 주장되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재일한인은 일본사회에서 일본인과의 사이에서만 갈등과 적응의 진자운동을 했던 것은 아니었다. 같은 재일한인 사이의 세대 간에서도, 같은 세대이면서도 모국의 정치현실이 투영된 이념대립의 영향을 받아 서로 반목하는 그룹들 사이에서도, 모국인 한국 및 한국에 거주하는 그들의 친인척과의 사이에서도 이러한 진자운동은 발견된다. 재일한인들은 이와 같이 다층적인 갈등과 적응의 진자운동 속에서 삶을 영위해야만 했다. 재일한인 사회 구성원의 세대교체 및 뉴커머 등장은 진자운동하는 재일한인의 삶에 질적인 변화를 초래했을 터였다. 국적법의 개정과 재일한인과 일본인 간의 국제결혼 건수가 증가함에 따라 재일한인의 일본인화 현상은 자연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여졌기 때문이다. 일본에서 출생한 올드커머 2세, 3세 등의 재일한인에게 ‘민족’은 더이상 표상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 오히려 초극해야 할 대상이 되었다. 이들이 조국, 민족을 넘어서려 했을 때, 그것은 ‘배반’이 아니라 ‘초월’을 지향했던 것은 아니었을까. 여하튼 재일한인의 삶은 갈등과 적응, 조화와 저항을 반복하며 “싫어하고, 동경하고, 버려지고, 발견하고, 자각하는”(윤건차) 일상이었다. 일본을 동경하고 한국을 발견하면서 ‘자이니치’를 자각한 재일한인의 삶은 거꾸로 현대 한국과 일본의 민낯을비추는 거울이기도 하다. 그러면서도 재일한인에게는 여전히 탈식민주의와 탈냉전이라는 이중적인 과제가 동시에 남아 있다고 할 수 있다.

일본어

戦後、母国に帰国もせず日本の国籍に帰化もせず在日を自覚しながら生きてきたオールド カマー在日韓国人の葛藤と調和とのあいだを振り子のように揺れ動く生き方は ‘在日の論理’ を前面に打ち出して ‘民族’を表象する生き方であった。就職、公営住宅への入居条件、在 留権、国民年金、指紋押捺制度、参政権の要求などで、我々はこうした ‘在日の論理’が一 貫して主張されてきたのを確認することができる。むろん、在日韓国人は日本社会で日本人 とのあいだでのみ葛藤と適応とを繰り返してきたわけではなかった。在日韓国人同士の中の それぞれの世代のあいだでも、同一世代でありながらも母国の政治現実が投影されたイデオ ロギーの対立の影響を受け反目し合うグループのあいだでも、また母国である韓国および韓 国に居住している彼らの親戚や姻戚とのあいだでも、こうした振り子の状況は見受けられる のである。在日韓国人は、このように多層的な葛藤と適応のあいだを揺れ動く振り子のよう な生活を余儀なくされてきたのである。 在日韓国人社会の構成員の世代交代およびニューカマーの登場は在日韓国人の生活にも 質的な変化をもたらした筈である。国籍法の改正、在日韓国人と日本人のあいだの国際結婚 の増加などによって在日韓国人の日本人化現象は自然なもの、であると受け止められるよう になったからである。日本生まれのオールドカマー2世、3世などの在日韓国人に ‘民族’はも はや表象すべき対象ではなく、むしろ超克すべき対象でしかなかった。彼らが民族のカベを 越えようとした際、それは ‘裏切り’ではなく ‘超越’を志向したのではなかったであろうか。 いずれにせよ、在日韓国人の生活は葛藤と適応、調和と抵抗を繰り返しながら、“嫌い、あ こがれ、捨てられ、発見し、自覚する”(尹健次)日常であったといえる。日本をあこがれ韓国 を発見しながら‘ザイニチ’を自覚した在日韓国人の生活は現代の韓国や日本の素顔を写す鏡 でもあるといえよう。しかも在日韓国人には依然として脱植民主義や脱冷戦という二重の課 題が立ちはだかっているといえる。

목차

Ⅰ. 머리말
 Ⅱ. 올드커머 재일한인의 형성과정과 현황
 Ⅲ. 갈등과 적응 간 진자운동의 양상
 Ⅳ. 맺음말
 reference
 국문 abstract
 일문 abstract
 영문 abstract

저자정보

  • 송석원 Seok-won, SONG.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