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 復原을 위한 組版 및 印出 實驗 硏究

원문정보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ype Setting and Brushing for Restoration of Baegun Hwasang Chorok Buljo Jikji Shimche Yojeol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복원을 위한 조판 및 인출 실험 연구

曺炯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1) Material for printing wax and processing method: Non-drying oil or semidrying oil and 65∼75% wax were most effective. Mashing was necessary in order to create flexibility and stickiness. (2) Printing suitability of chinese ink: Water chinese ink was not suitable, but oil ink was suitable for metal type printing. (3) Content and proportion of chinese ink: The most effective combination was 5∼10% soot carbon, 5% solvent and functional additives with 5∼10% grain paste or glue. (4) Application technique of chinese ink: The application technique on printing plate was the key factor determining the quality of printed material. (5) Characteristic of brushed page: The overall style and trait of individual character was very similar to that of Jikji. Consequently, it is concluded that the typesetting and brushing techniques of metal types used for printing Jikji in Korea dynasty were within this range.

한국어

(1) 인납의 재료와 가공 방법: 불건성유나 반건성유, 65∼75%의 밀랍이 가장 유용하였다. 유연성과 점착성 생 성을 위하여 반드시 으깨야 했다. (2) 묵즙의 인쇄 적성: 금속활자판 인쇄용으로 수성 묵즙은 부적합하였고, 유성 묵즙은 적합하였다. (3) 묵즙의 구성 성분과 비율: 연매 재료는 5∼10%, 용매 재료는 5%, 기능성 첨가제 는 5∼10%의 곡류 풀이나 아교액이 유용하였다. (4) 묵즙의 도포 기술: 인판에 도포하는 기술이 인쇄물의 서 품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였다. (5) 서엽의 특징: 전반적 분위기와 개별 문자의 특징이 『직지』와 매우 유사하 였다. 이로써 고려시대에 사용하였던 『직지』 인쇄용 금속활자의 조판 및 인출의 방법은 이 범주 내에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목차

<초록>
 
 1. 緖論
 2. 組版 過程
 3. 印出 過程
 4. 印出 結果 分析
 5. 結論
 <참고문헌>
 [부록]

저자정보

  • 曺炯鎭 조형진. 강남대학교 인문대학 문헌정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