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P대학 학생의 인식 분석

원문정보

An Analysis on Students' Perception of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Core Competences in P University

정선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formance and of general education based on core competences and to get the under-graduate students' educational needs, and to propose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a general education course of P university curriculu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808 students who took the subjects of the general education course in the 2014 fall term. After taking the subjects, the survey asked students their opinions on achievements, improvements and important degrees of core competences. ANOVA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for the important degree verification according to the fields of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it is important that students were aware of the global capabilities and collaboration capabilities among core competencies. Second, the extent of collaboration capabilities and communication capabilities were surveyed most highly about achievement. Third, students said that global capabilities and problem solving capabilities are dealing with important in the curriculum. While collaboration capabilities and communication capabilities found that it improve through the curriculum based on core competences. Forth, general education course based on core competences was investigated by the lower response rate than the response rate does not match that comply with the seven core competencies of the P university. Fifth. depending on how many take general education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was investigated as study the survey of general education courses, the greater the number of general education subjects taken were investigated the response does not match the core competencies of university. According to the ANOVA test of the students' educational needs, different major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except communication capabilit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to research on the results of operations of our core competencies curriculum by introducing a core competencies in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the perception of the students' core competencies, this study identified the status and the effectiveness of general education based on core compet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determine what core competency-based education curriculum is supplemented with directional elements need to be pursued in the P university, and get ideas for the Improvement of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It will also be able to become a base material through a follow-up study on such evaluation criteria as the preferred valuation method for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training capabilities can improve the quality of the current operating core competency-based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P 대학의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성취도 및 향상도와 중요도 등을 분석하여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의 성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대학생들이 대학교육을 통하여 함양하고자 하는 역량이 무엇인 지를 알아보고, 실제로 교양교육과정을 통하여 그러한 핵심역량들이 어느 정도 성취되어지고 향상되어지는 지를 조사해보았다. 분석 결과 학생들이 학부생들에게 중요하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으로 글로벌 역량과 협업 역량 순으로 중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성취정도에 대해서는 협업역량과 의사소통 역량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또한 향상되었는지 묻는 설문에 대해서는 협업 역량과 의사소통 역량이 향상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반면 교육과정에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역량으로 글로벌 역량과 문제해결 역량 순으로 응답하여 성취정도 또는 향상정도가 높은 역량들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교양교육과정의 핵심역량 부합 정도를 묻는 설문 결과 교양교육과정이 대학의 7개 핵심역량과 부합한다는 응답율이 부합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응답율에 비해 낮게 조사되었다. 교양교과목 수강 빈도에 따른 교양교육과정의 핵심역량 부합 정도를 묻는 설문 결과는 수강 과목이 많아질수록 부합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이 부합한다고 응답한 비율에 비해 높게 조사되었다. 계열에 따른 핵심역량의 중요도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의사소통 역량을 제외하고 대학의 핵심역량에 대한 유의미한 인식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에서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을 운영한 결과에 대한 연구라는 데 의의가 있다. 대학생들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통해 역량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성취도, 향상도 등으로 역량교육의 효과를 살펴보고 진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대학의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이 추구해야 할 방향성과 보완해야할 요소들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교양교육과정의 개선방향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역량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평가 준거와 바람직한 평가 방법 등에 대한 후속 연구를 통하여 현재 운영중인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P 대학의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 현황 분석
 4. 연구 방법
 5. 연구 결과
 6.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정선호 Jeong, Seonho. 평택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