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특집 1] 대학 교양교육과 융합역량 교육

은유와 과학 융복합 교양교육의 만남

원문정보

Encounter the Metaphor with the Science Convergence in the General Education

안호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se days, there are various social demands, the complex cultural receptions, and the uncharted future, with pointing out the closure of the studies, the interest of the science convergence in the general education is growing. The point of emphasis moving to the science in general education with having to understand the order and the law, cause that is based on the rational communication of the knowledge. Nowaday our knowledge incorporates with the part of the gigantic systems which is already made by the rational rules We would accept the rules in these systems, but per contra we dare to adventure with dreaming the novelty. Through the adventure the imagination and the creativity will have the vitality, then our knowledge could meet the creativity what move lively. I would survey the possibility of the metaphor as one of the passive adventure in that someone stress the importance of the creativity and the imagination. That is, we would inspect the possibility of the science convergence in the general education through the way expressed by the metaphor. I would focus on the discussion how the science expressed by the metaphor, and how the metaphor itself explained by the science. First of all, by the taking a look how rhetorics are applied at the language of the science, we could know how the science expressed by the metaphor. Then, if the human brain using the metaphor is evolved for long time, we could discuss scientifically how the metaphor itself explained by the science. Hence we could argue how the science have meet the metaphor in ‘the metaphor of the science’, and how the conceptual blending theory could meet the complex science in ‘the science of the metaphor’. Finally based on these discussions, we could investigate the encounter between the metaphor and the science convergence in the general education.

한국어

다양한 사회적 요구, 복합적인 문화적 수용 그리고 열린 미래를 위한 교육 제공 등에 대한 논의가 빛의 속도로 소통하는 시대에 비추어 폐쇄적인 학문 분과의 문제점이 지적되면서 융복합 교육에 대한 관심은 점점 증대되고 있다. 특히, 질서와 법칙으로 이해해야 하는 과학을 중심으로 융복합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데, 이것은 인간의 앎이 합리적 소통에 기반하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오늘날 우리의 앎은 이미 합리적 규칙으로 만들어진 거대한 시스템의 일부로 편입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시스템 속에서 한편으로는 합리적 규칙을 수용하려고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새로움을 꿈꾸며 모험을 감행하려 한다. 모험을 통해 상상력과 창의력이 생명력을 획득하게 되고, 우리의 앎은 약동하는 창조성을 만나게 되는 것이다. 창의력과 상상력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지금, 논자는 가장 소극적인 모험을 위한 하나의 시도로서 은유가 지니는 가능성을 검토하려고 한다. 즉, 은유로 표현되는 방식을 통해서 과학 융복합 교양교육의 가능성을 점검해보려는 것이다. 논자는 과학이 은유를 통해 어떻게 표현되고 있으며, 또 역으로 은유 자체가 과학을 통해서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가에 논의의 초점을 맞출 것이다. 먼저, 과학의 언어에 어떤 수사가 활용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과학이 은유를 통해 어떻게 표현되고 이해되는지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이어서 은유를 사용하는 인류의 두뇌가 오랜 시간에 걸쳐 진화해온 것이라면, 은유가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대한 과학적 논의가 가능할 것이다. 이로부터 ‘과학의 은유’에서 과학이 은유와 어떻게 만나왔으며, ‘은유의 과학’에서 개념적 혼성이론과 복잡성 과학이 어떻게 만날 수 있는지를 논의할 것이다. 끝으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은유와 과학 융복합 교양교육의 만남을 검토할 것이다.

목차

1. 은유와 과학의 언어
 2. 은유의 인지적 기능
 3. 과학의 은유: 길들여지는 과학
 4. 은유의 과학: 길들이는 과학
 5. 은유와 과학 융복합 교양교육의 미래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안호영 Ahn, Hoyoung.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파라미타칼리지

참고문헌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