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종대 한성판윤의 특징과 변화(1863~1907)

원문정보

The characteristic of Seoul Mayor and Change in King Ko-Jong(1863~1907)

장경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analyzes Seoul Mayor’s family clan, the age, incumbency, their job and many works when they were in Seoul Mayor in the King Ko-Jong. The percentage of Andong Kims clan was high during the regency and that of Yeoheong Mins clan was high during his own reign. Specially, Jeonjoo Lees clan were repeatedly appointed to Seoul Mayor and their incumbency was long before the Gabo Reform of 1894. Above this there were Byun Won Kyu and Lee Seung Oh who was the envoy of Qing. They became Seoul Mayor during the Qing intervention period. There were big changes after the Gabo Reform of 1894. To be specific, The Andong Kims clan, Yeoheong Mins clan, Jeonjoo Lees clan was the main family clan before the Gabo Reform. But Seoul Mayor was a man of obscure birth after the reform. Furthermore their incumbency was doubled when comparing the Seoul Mayor before the Gabo Reform. Their age was younger than before the Gabo reform. Younger Seoul Mayor such as Ye Cha Yeon worked many things for Seoul. For instance, they tried to find solution of conflict between Korean and Foreigner and worked for Hansung City Improvement Project. Sometimes they rejected foreigner’s excessive demand. However, there were no their own decision after the Protectorate Treaty of 1905.

한국어

이 글에서는 고종대(1863~1907)의 한성판윤의 명단을 본관, 취임 당시의 나 이, 재임기간, 재직 전후 관직 등을 분석하고, 더불어 그들의 재임 기간에 한성에 서 일어났던 여러 가지 일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고종 친정 이전에는 안동김씨가, 고종 친정 이후에는 여흥민씨가 주로 한성판 윤을 맡았다. 그런데 전주이씨는 갑오개혁 이전 전 시기에 걸쳐 한성판윤을 맡았 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전주이씨는 한성판윤에 자주 임명되었을 뿐만 아니라 재임기간도 길었다. 이 외에 한성판윤에 여러번 임명된 인물들 중에서는 청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었던 변원규와 이승오를 들수 있겠는데, 이들은 청나라의 간섭이 가속화 되던 시기에 자주 재임했던 인물들이다. 고종대 한성판윤은 갑오개혁 전후로 커다란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전주이씨, 안동김씨, 여흥민씨가 주도하던 갑오개혁 이전과는 다르게 이 시기의 한성판윤 은 그 출신이 불분명하거나 양반이 아닌 이들이 많았다. 게다가 이들의 평균 재 임기간은 이전 한성판윤 보다 2배 길었고, 평균 연령대도 10세 이상 젊은 인물 들 이었다. 이채연을 비롯한 젊은 한성판윤들은 재임하면서 외국인과의 갈등 처 결, 도시개조사업, 법률문제해결 등 여러 가지 일들을 했다. 때로는 외국의 부당 한 요구에 맞서 대응하기도 했다. 그러나 을사늑약이후 한성판윤의 직임은 낮아지고 독단적인 대처를 찾아볼 수는 없게 되었다.

목차

I. 머리말
 II. 고종대 한성판윤의 위상
 III. 갑오개혁 이전의 한성판윤과 특징(1863~1894)
  1. 고종 친정 이전의 한성판윤과 특징
  2. 고종 친정 이후의 한성판윤과 특징
 IV. 갑오개혁 이후의 한성판윤 성분과 역할 변화(1894~1907)
  1. 한성판윤 성분 변화
  2. 한성판윤의 역할 변화
 V.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부록>

저자정보

  • 장경호 Chang, Kyoung-ho. 서울역사편찬원 전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