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서울 남대문통 상업 공간의 근대화 과정 연구

원문정보

Research on the modernization of commercial space in Namdaemun-tong in Seoul

이길훈, 양승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is an attempt to understand how the Sijeon, or the marketplace of the premodern capital, that supported the government power and maintained the continuity of the capital city, had been changed spatially and socially during the transition into the modern era. For this, we analyzed the spatial and social structure of Namdaemun-tong through the change of land ownership, with reference to sources such as “Hanseong-bu Hojeok(Family Register in Seoul)” of 1903, the Old Land Register of 1912, “Gyeongseong- bu Gwannae Jijeok Moknok(Cadastre of Land in the Jurisdiction of Seoul)” of 1917 and 1927, and “Jeoseon Eunhaeng Hoewsa Yorok(Company Catalogue of Joseon Bank)” of 1921~1927. As a result, we derived the following two conclusions. First, Namdaemun-tong 1-jeongmok consists of “Gwangtong-bang Seohaengrang-gye” and “Daepyung-bang Donghaengrang-gye” which were premodern street-side commercial architectures, or Sijeon Haengrang. City space of the capital is a complex manifestation of ideas of the overlords who constructed it at the time. The shape and structure of East Asian capital cities were designed in accordance with Chinese capital city construction principles. But in the case of Hanyang capital city, the location and formation of commercial places, or Sijeons, are very unique. In this study, Sijeon Haengrang was assumed to have existed from the era of King Taejo. But in reality, the actual formation of Sijeon Haengrang that remained until late Joseon Dynasty was constructed in three stages since February 1412, with the size of total 2,027 rooms; they were located between Haeyjeong-gyo and Changdeokgoong Donggu, and between Jongroo and Soongryemun area. Namdaemun-tong was located near the Japanese residence and was modernized earlier than Jongno-tong which was in the centered around the Joseon people. Namdaemun-tong 1-jeongmok consisted of the original sijeonhaengrang, which included Seohaengrang-gye and Donghaengrang-gye. Second, during modernization, there occurs an integration of purposes in commercial spaces in Namdaemun-tong 1-jeongmok. Both Seohaengrang-gye in Gwangtong-bang and Donghaengrang-gye in Daepyeoung-bang were merged into one administrative district after modernization, but still the characteristics of Seohaengrang-gye and Donghaengranggye were kept unchanged: Seohaengrang-gye preserved its legacy form of commerce ruled by Koreans, while Donghaengrang-gye had undergone a change to become the business area ruled by the Japanese. Financial markets were concentrated in between those areas. Third, the commercial space in Namdaemun-tong 1-jeongmok is marked with robustness in its shapes and functions. Sijeon Haengrang, or the premodern commercial space, wa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capital city; and particularly in the case of Hanseong-bu, the capital city of Joseon Dynasty, it had been relocated and emphasized like the shape of a fan; and these spatial characteristics had been preserved until the early modern era. Certainly, commercial activities were allowed outside the commercial space after the modern era, but as Jongno-tong and Namdaemun-tong remain as the center of commercial activity, they appear to inherit the commercial space from the premodern era. Furthermore, Gyeongseong’s commercial spaces are spatially characterized by the dualistic existence of Jongnotong, which was developed around Koreans, and Namdaemun-tong, which was developed around the Japanese. If premodern Hanseong-bu’s commercial space had a social function ality of maintaining national power, modern Gyeongsong’s commercial space was focused on commercial distribution, while serving the function of supporting those in government power. Therefore, we can understand that the spatial or social characteristics of premodern commercial space, while undergoing the modernization, was not dramatically integrated into the capital economy and changed, but rather has transitioned while maintaining a portion of its original properties.

한국어

본 연구는 전근대의 수도에서 권력을 지탱하며 수도를 유지하게 하였던 상 업 공간인 시전이 근대를 맞이하며 공간적, 사회적으로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고 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903년의 『한성부 호적』, 1912년의 구토지대장, 1917년,1927년의 『경성부관내지적목록』, 1921년~1927년의 『조선은행회사요록』 을 중심으로 토지소유 변화를 통해 남대문통의 공간구조와 사회구조를 분석하였 다. 그 결과 다음 두 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남대문통1정목은 전근대 시전행랑이었던 광통방 서행랑계와 대평방 동 행랑계로 구성된다. 수도의 도시공간은 당시 수도를 조성한 권력자의 사상이 복 합적으로 드러나는 곳이다. 동아시아에서 수도 형상과 구조는 중국의 도성건설 원칙에 근거하고 있으나, 한양의 도성의 경우, 시전의 위치나 그 형태가 특징적 이다. 본고에서는 시전행랑이 태조 때부터 존재 했을 것이라 추정하였으나, 실질 적으로 조선후기까지 남아있는 형상인 혜정교(惠政橋)에서 창덕궁(昌德宮) 동구 (洞口), 종루에서 숭례문 전후에 이르는 시전행랑은 1412년 2월부터 3차에 걸쳐 총 2,027간 규모로 건설되었다. 조선 초기 시전행랑이 완공되어 지속적으로 상업공간으로서 역할을 해온 곳은 종로통과 남대문통이다. 남대문통은 일본인 거주지 와 근접하여 조선인을 중심으로 한 종로통에 비해 상대적으로 일찍 근대화를 겪 는다. 남대문통1정목은 기존의 시전행랑인 서행랑계와 동행랑계로 이루어진다. 둘째, 근대화 과정 속에서 남대문통1정목의 상업 공간에는 용도 집중 현상이 나타난다. 광통방의 서행랑계와 대평방의 동행랑계, 양측은 근대 이후 하나의 행 정구역으로 편입되어 남대문통1정목이 되나, 여전히 기존의 서행랑계와 동행랑 계의 성격이 유지되며, 서행랑계에는 한국인을 중심으로 하는 기존의 상업 형태 가 유지된 반면, 동행랑계는 일본인 중심의 상권으로 변화하였고, 그 중심에는 금융계의 집중 현상이 대표적으로 드러난다. 셋째, 남대문통1정목의 상업 공간은 형태적, 기능적으로 강건성을 특징으로 한다. 전근대 상업 공간이었던 시전행랑은 수도를 구성하고 있는 필수 요소였으 며 조선왕조의 수도 한성부에 있어서는 그 위치가 변형되고 특히 선형으로 강조 되었다는 공간적인 특징은 근대 초기까지는 유지된다. 물론 근대에는 상업을 할 수 있는 지역에서 벗어난 상업 활동도 인정되나 여전히 종로통과 남대문통을 중 심으로 상업 활동이 집중적으로 일어났다는 점으로부터 전근대에 형성된 상업 공간이 계승되고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경성의 상업 공간은 공간적으로 조선 인을 중심으로 발전한 종로통과 일본인을 중심으로 발전한 남대문통이 이중적으 로 공존하는 특성을 보인다. 전근대 한성부의 상업 공간이 사회적인 면에서 국가 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했다면, 근대 경성의 상업 공간은 민간 유통 적 성격을 중심으로 하면서도 여전히 국가 권력층의 유지를 위한 역할도 담당하 였다. 따라서 상업 공간이 전근대에 가졌던 공간적 혹은 사회적인 측면의 특성은 근대화를 맞이하며 급작스럽게 자본경제로 편입되어 변동된 것이 아니라 일정부 분 기존의 속성을 유지하면서 이행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목차

Ⅰ. 머리말 : 동아시아 수도에서의 상업 공간
 Ⅱ. 전근대 한성부의 상업 공간, 시전
  1. 시전행랑 조영의 역사
  2. 시전행랑의 구성과 규모
  3. 시전의 성격 : 어용적 성격에서 민간유통적 성격으로의 변화
  4. 시전 조영에 대한 의미
 Ⅲ. 전근대 상업 공간의 변화 : 남대문통을 중심으로
  1. 도시구조의 변화
  2. 토지 소유의 변화에 따른 남대문통의 성격
 Ⅳ. 남대문통1정목의 근대화
  1. 남대문통1정목의 도시구조 : 서행랑계와 동행랑계
  2. 남대문통1정목의 상업 공간의 변화
 Ⅴ.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길훈 Lee, Kil-hun.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연구교수
  • 양승우 Yang, Seung-Woo.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