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몸 미학과 무용과의 미학적 관계성 연구

원문정보

An Aesthetic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maesthetics and Dance

황인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husterman developed somaesthetics, which emphasizes somatic consciousness and practice based on pragmatic aesthetics. Somaesthetics is closely related to the somatic approach to dance, which focuses on the dancer’s inner experience as the cognitive subject. This study purpose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tive somaesthetics and dance in order to determine how somaesthetics contributes to dance as an art form as well as provides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dancer’s movement exploration. For aesthetic communication between dancer and audience to occur through dance expres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dancer’s expressive power. The dancer can enhance his/her expressive power through the development of abilities to form motor programs in dance, process proprioceptive information, and perceive dance space. These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dance body, that is, the body schema in dance. The development of the body schema in dance is the outcome of conscious efforts to transform the everyday body into a dance body. From the perspective of somaesthetics, this implies the transformation of the dancer’s body into the aesthetic medium through practicing performative somaesthetics. The development of the dance body makes a dancer able to perform dance movements in a refined and natural way, in which the dance schemata functions preconsciously. As a result, aesthetic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is enhanced. Therefore, through somaesthetics, particularly performative practices, the dancer develops a dance body to contribute to the expressive power of dance. As the audience reaches deeper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of the movement possibilities of the dance responding to the dance environment, its appreciation may be heightened. This implies that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have performing experience in the dance curriculum through experiential and performative practices in order to enhance the abilities of evaluation and appreciation in the dance performance.

한국어

실용주의적 미학 입장에서 몸에 대한 의식과 실천을 강조하는 슈스터만의 몸 미학은 인식 주체로서 무용수의 내적 경험을 중시하는 무용의 몸학적 접근과 밀접한 관련성을 맺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행적 몸 미학과 무용과의 관계성 분석을 통해 실천적 성격의 몸 미학이 어떻게 무용에 적용, 기여할 수 있는지를 논의함으로써 인식주체로서 무용수의 무용탐구에 대한 이론적 틀을 제시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관객과의 미적 소통을 위한 무용표현을 위해서 무용수는 몸의 표현력을 개발, 제고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무용수는 무용 움직임 프로그램을 만들고 유지하는 능력, 고유수용감각적 정보 처리 능력, 무용공간적 지각 능력을 발달시킴으로써 무용표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은 무용적 몸, 즉 무용의 신체도식 발달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무용 신체도식의 발달은 일상적 몸으로부터 무용적 몸으로 전환하기 위한 인위적 노력이며, 몸 미학적 차원에서 보면 실행적 차원의 몸 미학 실행을 통해 미적 표현매개체로 무용수의 몸을 변환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무용적 몸의 확립, 발달은 전의식적 수준에서 무용의 신체도식들이 작동하면서 무용수로 하여금 보다 자연스럽게 정제된 방식에서 무용표현을 수행하도록 하고 그 결과 관객과의 무용경험 소통이 확대된다. 따라서 몸 미학, 특히 실행적 차원의 몸 미학 실천을 통해 무용수는 무용표현력에 기여할 수 있는 무용적 몸을 발달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관객이 무용 환경에 대응한 무용수의 움직임 가능성에 대한 이해와 경험을 가지고 있다면, 그러한 이해와 경험을 갖고 있지 못한 관객들과 비교하여 무용공연에 대해 상대적으로 보다 폭 넓고, 깊은 미적 이해를 하면서 무용 감상의 질이 제고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것은 무용공연에 대한 비평, 감상능력 제고를 위해 경험적, 그리고 실행적 몸 미학적 차원에서 무용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움직임 기술에 관한 실기 경험을 갖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몸 미학의 역사적 배경, 개념 및 실천영역
  1. 역사적 배경
  2. 개념
  3. 실천영역
 Ⅲ. 실행적 몸 미학과 무용과의 관계성
  1. 몸 미학의 무용 함의
  2. 몸 미학과 무용적 몸
  3. 무용적 몸 형성과정의 미학적 분석
  4. 몸 미학의 실천에 따른 무용 효과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황인주 Hwang, Injoo. 신라대학교 무용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