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earch efficacy on perceived career development support and job support intensity of university students of physical education major. Data were collected by a total of 223 junior and senior students who are undergraduate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in Seoul, Chungnam, and Gyeongsang Provinvces. For the stud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of the questionnaire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20.0 program,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using AMOS 20.0 program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areer development support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of physical education majo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job search efficacy, whereas i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job search intensity. Second, job search efficacy of the studen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job search intensity. Lastly, it was found that job search efficacy tot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areer development support and job search intensity.
한국어
이 연구는 체육계열 대학생이 인식한 경력개발지원과 구직강도의 관계에서 구직효능감의 매개효과의 관계 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서울, 충남, 경상권에 소재한 대학교의 체육전공자 중 3, 4학년을 대상으로 223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 문지의 신뢰도와 타당도검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경로분석은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계열 대학생이 인식한 경력개발지원은 구직효능감 에는 통계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구직강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둘째, 체육계열 대학생의 구직효능감은 구직강도에 통계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체육계열 대학생이 인식한 경력개발지원 과 구직강도 사이에서 구직효능감은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 방법
2.1 연구대상
2.2 조사도구
2.3 설문지의 타당성 및 신뢰도
2.4 자료처리 방법
3. 결과
3.1 변인간의 상관관계
3.2 변인간의 인과관계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5.1 결론
5.2 제언
ACKNOWLEDGMENTS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