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has on the daily life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ir psychological mechanisms such as depression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rve as the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practical intervention strategies and policy measures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the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analyzes the raw data of the fourth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surveyed by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of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In summa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subjective health status, disability acceptance, depression, and daily life satisfaction, the daily life satisfac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while having a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Second, regarding the impact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has on the daily life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depressio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daily life satisfaction;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The practical and political proposal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wereas presented.
한국어
본 연구는 장애인의 주관적인 건강수준이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장애인의 심리적 기제인 우울과 장애수용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주관적인 건강수준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밝힘으 로써 구체적인 실천적 개입 전략과, 정책적 제도방안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에서 조사한 제4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SED)의 원자료(raw dat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의 주관적 건강수준, 장애수용, 우울, 일상생활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일상생활만족도는 주관적 건강수준 과 장애수용과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우울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주관적 건강수준이 일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장애수용 및 우울의 매개효과에서는 주관적 건강수준은 일상생활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영향을 미치며, 이들 간의 관계에서 장애수용과 우울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의 일상생활만족을 위하여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목차
Abstract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및 표집방법
2.2 조사도구
2.3 자료분석
3. 연구결과
3.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주관적 건강수준, 장애수용, 우울, 일상생활 만족수준
3.3 요인 간의 상관관계
3.4 주관적 건강수준이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장애수용 및 우울의 매개효과
4. 논의 및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