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융합 의과학

녹차잎, 뽕잎, 마테잎 추출물이 S. mutan s에 미치는 항균효과

원문정보

Anti-bacteria effect of green tea, mulberry, and mate leaves extracts on S. mutans

김성숙, 원지혜, 이고은, 이루리, 이선미, 이진희, 강경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how green tea leaves, mulberry leaves, and mate leaves that are often taken around in drinking tea influence on S. mutans known as dental caries causative bacteria. After vaccinating 1% of S. mutans on the extract added badge and incubating 6 hours and 10 hours in 37℃, it calculated absorbance and bacterial colony number. Extract of green tea leaves and mate leaves were added with 0, 0.5, 1.0, 2.0, and 4.0% of concentration. As a result of growth suppressive effect of S. mutans, it may be observed that colony number significantly decreases in higher concentration. When it calculated bacterial colony number with adding 2% extract after 10 hours, 99.0% for green tea leaves, 97.1% for mulberry leaves, and 89.6% for mate leaves appeared.

한국어

본 연구는 일상에서 흔히 차로 음용되고 있는 녹차잎, 마테잎, 뽕잎이 치아우식원인균으로 알려진 S. mutans 에 미치는 항균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S. mutans를 추출물이 첨가된 배지에 1%씩 접종하고 37℃에서 6시간과 10시간동안 배양한 후 흡광도 및 세균 집락수를 측정하였다. 녹차잎, 마테잎, 추출물은 0, 0.5, 1.0, 2.0, 4.0%의 농도 로 배지에 첨가하였다. S. mutans의 성장억제효과를 확인한 결과, 농도가 높을수록 colony의 수가 현저히 줄어드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2% 추출물을 첨가하고 10시간 후 세균 집락수를 측정하였을 때 녹차잎은 99.0%, 뽕잎은 97.1%, 마테잎에서는 89.6%의 높은 성장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재료 및 방법
  2.1 추출물 준비
  2.2 사용 균주 및 배양
  2.3 흡광도 및 집락수 측정
 3. 연구결과
  3.1 추출물 농도에 따른 흡광도
  3.2 추출물 농도에 따른 성장억제율
 4. 고찰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성숙 Sung-Sook Kim. 건양대학교병원 치과
  • 원지혜 Ji-Hye Won.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이고은 Go-Eun Lee.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이루리 Ru-Ri Lee.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이선미 Sun-Mi Lee.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이진희 Jin-Hee Lee.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강경희 Kyung-hee Kang.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