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relative explanation of social support, ego-resiliency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to help adaptive coping style of school-dropout adolescents under stress situation. To this end, 101 school-dropout adolescents were surveyed by visiting and requesting the outofschool youth supporting project, youth detention center, and adolescent protective and treatment facilities in Daejeon, Cheongnam, and Chungbuk. As analysis method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analysis were conducted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ress coping strategies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y. Second, a variable that showed greater explanation power for stress coping strategies was the environmental variable, the social support. Third,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was greater explanation power when the environmental variable, the social support, and the personal variable, the ego-resiliency, were put in at the same time for stress cop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 result, this study implies that schools, community, national policy effort and systemetic approach are required as well as improvement of personal coping capabilities in order to overcome difficulties school-dropout adolescents face.
한국어
본 연구는 학업중단 청소년의 스트레스 상황에 대하여 적응적인 대처를 돕고자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상대적 설명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전, 충남, 충북의 각 지역에서 학교 밖 청소년지원 사업과 소년원, 청소년 보호치료시설 등에 직접 방문 및 의뢰하여 학업중단 청소년 1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 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 Pearson 상관관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사회적지지와 자아탄력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더 많은 설명력을 나타낸 변인은 환경적 변인인 사회적지지였다. 셋째,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있어서 환경적 변인인 사회 적지지와 개인적 변인인 자아탄력성을 동시에 투입했을 때 더 많은 설명력이 나타났다. 따라서 학업중단 청소년이 직면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개인의 대처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학교, 지역사회, 국가의 정책적 노력과 더불어 체 계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문제
3. 연구 방법
3.1 연구대상 및 연구절차
3.2 측정도구
3.3 분석 방법
4. 연구결과
4.1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
4.2 사회적지지와 자아탄력성이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5. 결론 및 논의
5.1 결론
5.2 논의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