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학습자 중심의 학술적 글쓰기 교육방안 마련을 위한 텍스트 분석 — 대학생들이 생산한 각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Academic Texts for the Learner-Oriented Education ― Focusing on Footnotes in Academic Theses Produced by College Students

박나리

초록

영어

Footnote is one of the outstanding genre-based characteristics of academic thesis. It dedicates to enlarge the width and depth of the academic thesis by quotations, explanations, illustrations and crossreference, etc. Despite these useful functions, footnotes which are written by college students do not seem to work properly. Rather, in many cases, college students’ footnotes do not seem to perform its own function. Furthermore, it is likely that footnotes by college students often bring about crucial flaws such as missing exact sources of significant quotations. Meanwhile, footnotes by college students tend to be merely used as quotations. Namely, in most cases, reference footnotes which show the sources of quotation occupy most of footnotes. It is highly difficult to discover either content-footnotes or cross-reference footnotes.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analyze college students’ footnotes and to categorize them according to its sub-functions. Also, prominent phenomenon of these footnotes is observed in detail. Based upon this analysis, several teaching directions are to be suggested for college students.

한국어

각주는 학술논문에 나타나는 독특한 텍스트 장르적 특성 중 하나다. 각주 는 본문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내용의 깊이와 넓이를 더해 주고 인용의 출처를 밝혀줌으로써 연구윤리와 주장의 신뢰성을 확보시켜 줄 뿐 만 아니라 텍스트의 부분 부분들을 가리켜 줌으로써 내용적・형식적 긴밀성 을 더해 주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실제로 대학생들이 생산한 학술논문의 각주에서는 이러한 각주 본연의 다양한 기능들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텍스트 의 신뢰성이나 정확성 등을 저해하는 요소로까지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의식 아래, 학습자 중심의 각주 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그 구체적인 교육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습자들이 생산한 각주에 대한 분석부터 면밀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보고, 학습자 중심의 학술적 글쓰기를 위한 기반 연구로서 대학생들이 생산한 각주를 유형별로 나누어 상세히 살피고 그 경향성을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학 습자 중심의 각주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목차

국문 요약
 1. 연구목적과 필요성
 2. 각주의 종류와 기능
 3. 대학생들이 생산한 각주 분석
 4. 분석결과에 근거한 바람직한 각주 쓰기교육의 방향성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나리 Park Naree. 한국교통대학교 한국어문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고려대학교 출판부 편, 『(새로운) 논문 작성법』, 고려대 출판부, 2012.
  • 2권석만, 『학술논문 작성 및 출판 지침』, 시그마프레스, 2007.
  • 3김기홍, 『논문작성 이렇게 하라��, 시대의 창, 2002.
  • 4김성숙・김정훈・임은희, 『A+ 대학 한국어』, 한양대 출판부, 2015.
  • 5김태준, 『논문작성의 길잡이: 과학적 논문을 효과적으로 작성하는 방법』, 도서출판 봉명, 2002.
  • 6박창원・김성원・정연경, 『논문작성법』, 이화여대 출판부, 2012.
  • 7서대진, 『인문사회 과학도를 위한 학위논문 작성법 교과서』, 일문사, 2015.
  • 8이정희・장미라・서진숙・봉원덕,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글쓰기의 실제』, 도서출판 하우, 2011.
  • 9조성남・이현주・주영주・김나영, 『질적 연구방법과 실제』, 도서출판 그림, 2011.
  • 10Analysis of Error Sources and Estimation of Reliability in a Analytic Evaluation on Writing Ability for Academic Purpose Korean by Applying Generalizability Theory.네이버 원문 이동
  • 11Fundamental Research of Developing Syllabus for Creating hesis/Dissertation.네이버 원문 이동
  • 12박나리,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학습자를 위한 학술논문 각주 분석」, 『작문연구』 17, 한국작문학회, 2013a, 227∼269쪽.
  • 13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각주 쓰기 교육방안 연구네이버 원문 이동
  • 14Eine kritische Betrachtung zum Stilideal der Wissenschaftssprache네이버 원문 이동
  • 15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교육의 내용 연구네이버 원문 이동
  • 16정희모, 「대학 글쓰기 교육의 방향성과 실제」, 『이화어문학회 대학 글쓰기 특집 학술대회 자료집』, 2015, 1~12쪽.
  • 17홍정현, 「학문 목적 쓰기 요구 분석」,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40쪽.
  • 18Heinemann,W.&Viehweger,R., Textlingustik; eineEinfuhrung, 1991; 백설자 역, 『텍스트언어학입문』, 역락, 2001.
  • 19Ur,P., A Course in Language Teaching: Practice and Theory, Cambridge Teacher Training and Development Ser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