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Research on Modern Subject of Ko-Un’s Poetry ―Ten Thousand Lives
초록
영어
This paper focused on analyzing modern subject in Ten Thousand Lives of Ko-Un. Ten Thousand Lives was comprised of 4001 statements of 5600 people from ancient times to present-day, from mythical to historical, and from governing class to subject people. A distinguishing mark of Ko-Un’s poem, a national consciousness was related with a variety of problems and responses based on historical awareness. A description of formation of modern subject was an important point which Ten Thousand Lives provided a grand story and an epic poem. Ten Thousand Lives, a collection of serial poems featuring ‘a subjectivization of subject’, was consistent with a process of formation of modern subject in history. It was significant that the serial poems were not only limited to Korean modernization but also expanded to universal emotions of global citizens. Specifically, the socially weak, such as ‘a child’, ‘a woman’, and ‘a servant,’ appeared as poetic speaker in poems to seek ‘a recognition on reality’ of modern subject. ‘A practical awareness’ of modern subject reflected the essence of an era, a symbol of smaller condemned and suppressed community in a larger community, ‘a society’. A awareness of an era developed to a practical awareness. A formation of modern subject, described in Ten Thousand Lives, had differentiated and had characteristic features of ‘ours’ experiencing the Korean Empire and Japanese Colical Period. Ko-Un identified a premodern society as an important point to form modern subject.
한국어
이 논문은 고은의 『만인보』에 형상화된 근대적 주체 형성의 실천적 인식 과 그 시대적 인식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만인보』는 총 작품 수 4001 편, 등장인물 5600여 명으로 신화 속 인물에서부터 고대와 중세, 근·현대 의 역사 속 인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인간군상을 서사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특히, 우리 민족의 역사를 토대로 지배·피지배 계층의 구성원을 아우르는 인간군상의 주체화라는 점이 특징이다. 이러한 역사의식을 토대로 한 인간 사회의 다양한 문제와 대응방식이 고 은 시의 저변에 흐르는 민족·민중의식과 결부되어 근대적 주체의 형성 과정이 잘 나타나 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만인보』가 역사를 기반으로 재구 성된 대서사적 지평을 개진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정사(正史)와 야사(野 史)의 상호텍스트성이 미학적 실천으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이것은 시에 형 상화된 근대적 주체(실학자에서부터 기생까지) 형성의 지난한 과정과 그 시대적 인식이 독자와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주제를 응집하는 원동력으로 작용했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러한 점이 『만인보』가 대서사시, 인물서술시로 접근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분석된다.
목차
1. 머리말
2. 근대적 주체 형성과 시대적 인식
3. 근대적 주체 형성과 실천적 인식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