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의약품브랜드 캐릭터의 활용의미 연구 - ‘동화제약’의 사례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Use of Medical Brands' Characters - Focusing on 'DongWha Pharm' -

민혜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eople today hear, wear, use, and eat brands from the mass media on daily lives. Some brands disappear no longer after new brand release; on the other hand, other brands survive and last more than 100 years. 'Whal Myung Su' is released in 1897 and is recorded as the first registered trademark in 1910. 'Whal Myung Su' of DongWha Pharm, the oldest medical brand, developed 'DongWha Family' character in 2010. This character's motive comes from a tablet (capsule), and the design utilizes its unique connectivity with the pharmaceutical company. This study analyzed the meaning of character products expressed in 'Kids Whal Myung Su' of 'DongWha Family' character among domestic characters of medical supply brands. 'Kids Whal Myung Su', the recently released digestive medicine for intestinal disorders by DongWha Pharm, is an example of modern design utilizing characters. Based on Peirce's theory,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 between character images and the brand and finds embedding meaning. Analysis proves that the reason why DongWha Pharm has kept its place as the leading medical brand despite the periodical change and difficulties is the diversification of brand products like 'Kid Whal Myung Su'. Whal Myung Su of DongWha Pham actualizes the package of child digestive medicine which is assigned with 'relational meaning and tries differentiated strategy from other medical brands. This strategy is the driving force that leads DongWha Pharm be the longest leading household medicine brand in Korea.

한국어

현대인은 대중매체 그리고 생활을 통해 브랜드를 듣고, 입고, 이용하고, 먹는다. 브랜드 세계에는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아 사멸하는 상표가 있는가 하면, 100세가 넘도록 건강하게 장수하는 상표도 있다. 활명수는 국내 가장 오래된 의약품 브랜드로서 지난 2010년‘동화 패밀리’캐릭터를 개발했다. 이 캐릭터는 알약(캡슐)의 모티브를 얻어, 제약회사라는 특유의 연계성을 살린 디자인이다. 본 연구는 국내 의약품 캐릭터 중‘동화 패밀리’의‘꼬마활명수’에 표현된 캐릭터 상품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최근 동화약품이 출시한 어린이 소화정장제 '꼬마활명수'는 캐릭터를 활용한 현대적 디자인의 예시이다. 연구방법은 캐릭터 이미지와 브랜드의 관계를 퍼스(Peirce)의 이론으로 분석하고 이에 내재된 의미를 기호학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동화약품이 수많은 시대적 변화와 역경 속에서도 대표적 의약품 브랜드의 지위를 굳건히 지킨 이유는 ‘꼬마활명수’와 같은 독자적인 브랜드 상품 다양화를 마련했기 때문이다. 특히, 동화제약의 활명수는‘관계적 의미’를 부여한 어린이 소화제 캐릭터 포장을 실현하여, 타 의약품 브랜드와의 차별화 전략을 시도했다. 이는 현재도 동화제약이 국내 가정 상비약 대표 장수 브랜드로 자리 잡은 원동력이 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논의
  2.1. 의약품의 개념
  2.2. 장수브랜드 의약품 이해
  2.3. 의약품 캐릭터의 역할기능
 3. 동화제약‘꼬마활명수’캐릭터 분석
  3.1. 캐릭터 소개
  3.2. 분석대상과 범위
  3.3.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민혜남 Min, Hye nam. 충북도립대학 융합디자인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