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한국음악의 시도>

가야금연주법의 전통적 계승과 현대적 변화양상

원문정보

A Historical Overview of Succesion and Modernization of Classicsl gayageum Techniques

이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has sought to examine the succession and modernization of the classical gayageum-technique in order to document critical respects of the development of gayageum skills across history. To date, in case of the classical gayageum-technique pass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 fundamental technique principles remain unchanged. Yet it needs to note that a variety of non-classical and delicate techniques transformed from traditional skills exist. Contemporary gayageum notations for example feature with utilizing the left-hand techniques not used for traditional repertoires or complex harmonic patterns produced with both hands. It was not until the early 1960s that the contemporary Korean music genre stands as an independent part of Korean music. Since after then, a need toward new Korean music composed with original performance skills distinctive from classical fingerings began to be pervasive. In particular, Korean music composers including Hwang Byung-ki, Lee Hae-sik, and Yi Sung-chun contributed to the creation of modern gayageum techniques in the initial stage of contemporary Korean music. Since the late 1990s, the tendency that gayageum techniques became considerably evolved in ways as Western music composers-Koo Bo-nu, Na Hyo-shin, Lee Hye-seong, Kim Dae-seong, Kim Eun-hye, Chung Il-ryun-engaged actively in developing gayageum skills. The contemporary gayageum-music compositions at this time period also seem to reflect the need to modernization of Korean music. More importantly, the involvement of composers outside of Korean music field in gayageum repertoire may blur the boundaries of composition called Korean or Western in each. During the 2000s, a number of composers-Christian Utz, Donald Womack, Thomas Osborne, Baudoouin de Jaer, Jared Redmond-involve in creating technical changes in performing gayaguem. Not only does this tendency form a new phase of gayageum performance, also contributes to its globalization.

한국어

가야금의 전통적 연주법이 어떻게 계승되고 또한 현대적으로 발전하였는지 살펴보기 위해 전 통연주법이 계승 및 확장된 경우와 가야금연주법의 현대적 발전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 보았으며 시기적으로 연주법의 발달양상을 살펴 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야금의 전통적인 연주법은 현대에 와서도 가야금 연주의 가장 기본적인 연주법으로 계승되고 있으며, 더욱 세분화 되면서 확장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둘째, 전통음악에서는 전혀 쓰이지 않았던 왼손 선율연주 및 화음연주 등의 극한의 현대적인 주법들이 현대곡에서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다. 셋째, 가야금 창작음악이 나타나는 1960년대 초기에 황병기, 이해식, 이성천 등의 국악작곡가 들이 연주법 발전에 기여하였는데 이들은 국악창작곡의 선두주자로서 창작국악의 태동기라고 할 수 있는 당시 국악계 내부의 새로운 요구를 가야금 창작곡에 적극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 1990년 후반이후 구본우, 나효신, 이혜성, 김대성, 김은혜, 정일련 등의 서양작곡가들이 새로운 연주법에 기여 하였는데, 이는 현대화라는 시대적 요구를 가야금 창작곡에 수용한 것으로 보이며 국악작곡 가와 양악작곡가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사회적 현상이라고 볼 수도 있다. 또한 2000년 이후 Christian Utz, Donald Womack, Thomas Osborne, Baudoouin de Jaer, Jared Redmond 등의 외국인 작곡가들이 가야금연주법 발전에 기여하였는데 이는 가야금의 세계화에 초석이 되고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전통연주법의 계승 및 확장
 3. 가야금연주법의 현대적 시도
 4. 시대별 가야금연주법의 변화양상
 5. 결론
 ABSTRACT

저자정보

  • 이지영 Yi, Ji-Young. 서울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