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살 예방 홍보 메시지의 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 : 촉진/예방 초점 적용과 참여자들의 자기 감시 수준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Investigat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ffects of Suicide Prevention PR Messages : Applying Promotion/Prevention Orientation and SelfᐨMonitoring Levels

유현재, 김인기, 임재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Under the situation where Korea has been at the top among 34 OECD countries in terms of the suicide rate 7 straight years, diverse efforts have been carried out by many parties in this society. Late teens including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are known as one of the groups discussed frequently regarding suicideᐨrelated issues since the top reason for their death has been suicide for many years. Motivated by the fact above, this study investigated if what types of suicide prevention messages could be more effective among lateᐨteens. Especially, possible factors affecting people’s intention to spread the PR messages to the people around were pursued through experiments.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is study applied the concept ‘orientation’ which can be divided into 1) prevention orientation and 2) promotion orientation to produce suicide prevention messages. An individual’s level of selfᐨmonitoring has been used as another independent variable for carrying out 2*2 structure experiment in this study. As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lateᐨ teens with higher level of selfᐨmonitoring showed higher intentions to spread suicide prevention messages to the people around, an interaction effect by the two independent variables was found as well. People who had high level of selfᐨmonitoring were more impressed by the messages using prevention orientation rather than the messages with promotion orientation. On the other hand, the people with low selfᐨmonitoring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messages applying promotion orientation rather than prevention orientation.

한국어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가운데 자살률 1위를 12년째 기록하고 있으며, 이 같은 수치를 개선하고자 자살예방과 관련된 다양한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소위 ‘자살 취약 계층’ 으로 분류되는 그룹들 가운데, 특히 고등학생 및 대학생들을 포함한 후기 청소년의 사망 원인 1위가 고의적 자해, 즉 자살이라는 충격적인 사실은현 상황의 개선을 위해 전 사회가 다각적 노력을 다해야 하는 중요한 배경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자살 예방 홍보 메시지를 접하고, 청중들이 메시지의 훌륭한 전파자 역할을 수행하는 데 있어 과연 어떠한 요인들이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고찰을 진행하였다. 독립변수로서 초점(Orientation)을 적용하여 예방 초점 및 촉진 초점에 근거하여 자살 예방 홍보 메시지를 제작하였으며, 작성된 메시지를 접한 청중들은 또 하나의 독립 변수인 자기 감시 수준의 고저에 따라 메시지를 주변에 전파하고자 하는 의도를 얼마나, 어떻게 표현하는지 수집 및 분석한 것이다. 연구 결과, 후기 청소년의 자기 감시 수준이 높을수록 자살 예방과 관련한 메시지를 주변에 전파하려는 의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초점과 자기 감시 수준에 의한 상호작용 효과도 발견되었다. 자기 감시 수준이 높은 사람들의 경우, 촉진보다는 예방 초점에 의해 제작된 메시지를 접한 다음 자살 예방 관련 메시지를 전파하고자 하는 의도가 높았던 반면, 자기 감시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후기 청소년들의 경우 촉진 초점에 더욱 적극적인 반응을 보였다.

목차

요약
 서론
 선행 연구 및 이론적 배경
  후기 청소년(고등학생 및 대학생)의 자살 실태와대책
  구전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메시지 전파의 중요성
  초점 적용과 메시지 효과
  개인의 자기 감시 수준에 따른 메시지 효과
 연구문제
 연구 방법
  실험 설계
  실험 변수의 조작
  표본 선정
  종속변수의 측정
 연구 결과
  <연구문제 1>의 검증 결과
  <연구문제 2>의 검증 결과
  <연구문제 3>의 검증 결과
 결론 및 논의
 연구의 한계 및 제언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유현재 Hyunjae Yu.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 김인기 Inki Kim.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
  • 임재성 Jaesung Lim.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