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다문화정책공동체’의 효율적 운영 방안

원문정보

Methods for Operating Efficiency on the ‘Multi-Cultural Policy Community’ in Korea

김형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trend toward multi-cultural society has been rapidly grown in many aspects. Nevertheless, the tendency of globalization are ubiquitous and sweep almost every corner of the world. However, the governmental efforts to make good combinations with the foreign culture have been rare that create some of the contradictions. The United Nation has recommended Korea having an inclusive attitude toward foreigners and the foreign cultures. To be a global leader, it is necessary for the Korean to generate multi-cultural societies by absorbing not only foreign labors, but also the foreign cultures. In this perspective, this paper have dealt with some of the issues of multi- cultural society.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play a pivotal role in building a global community by establishing the network systems with other cultures. This paper suggest some ways of improving the globalization by structuring the multicultural policy communities. The establishing multi-cultural policy network means obviously making linkages with other cultures. This trend would, we hope, lead us to realization of a global leader in the very near future.

한국어

우리 사회의 다문화 사회로의 이행에 따른 파생된 사회문제에 대한 다양한 대책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2006년 참여정부의 다문화정책을 시작으로 다문화에 관련된 다양한 정책이 집행되고 있다. 하지만 전통적인 관료제에 의한 접근방식으로는 다양한 정책적 이슈들을 통합하고 관리하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복잡다기한 다문화정책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공공부분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효과적인 지원방안을 강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정책공동체의 개념을 활용하여 정부의 다문화정책 사례를 분석하고 성공적인 집행과 관리를 위한 단계별 전략 수립과 정책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효과적인 지원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정책의 성공적인 집행 전략을 위한 ‘다문화정책공동체모형’을 제안하고 정책공동체 내의 네트워크의 기능과 역할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다문화정책의 집행과정에서 정책공동체가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작업은 정책 목표에 대한 집행의 일관성의 확보하려는 정책 당국의 노력을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다문화정책공동체 모형’의 구성 원리
  1. 정책공동체의 방법론적 유용성
  2. 다문화정책의 단계별 전략과 정책과제
  3. 분석 틀 : ‘다문화정책공동체 모형’
 Ⅲ. 다문화정책공동체의 운영 현황
  1. 중앙정부 다문화정책의 제도적 맥락
  2. 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가족 지원 정책 현황
 Ⅳ. 다문화정책공동체의 운영 실태 분석
  1. 다문화정책공동체의 법률적ㆍ제도적 지원의 문제점
  2. 다문화정책공동체 내의 네트워크 개선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형수 Hyeong-soo Kim. 단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