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전후’ 여자와 ‘패전 후’ 남자의 민주주의 학습 ─ 시시 분로쿠 『자유학교(自由学校)』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Democracy’ learning of ‘Post-war’ Women and ‘Post-Surrender’ Men ─ Focused on Shishi Bunroku’s School of Freedom ─

송인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analyzed School of Freedom(1951), focusing on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as the start of the post-war Japan and a learning period of democracy, as part of studies on society and representations of the age. Shishi Bunroku’s School of Freedom is a text which sophisticatedly describes how Japanese mental states of “surrender” and “the Allied occupation” interact with gender in the everyday context. When School of Freedom was being published, the word ‘gender equality’ stood for the ‘postwar’ society. However, the women in the novel were not depicted as ‘independent’ self-identities or ‘subjects’ of change despite their role as ‘a proponent of new values.’ Furthermore, conservative husbands are perplexed with changes in women`s attitudes which contrasted to the pre-war period, and intimidated with the ‘post-war democracy,’ yet the husbands reveal the attitude disregarding the democracy as a transitory tide rather than recognizing it as a novel principle. School of Freedom affirms that the experience of a war and mental states of the occupied affects both women and men during the American Occupation through limits of women`s advancement of their rights and men`s sardonic reaction toward democracy. This article reflected from a gender perspective the fact that a retrospective atmosphere in the 1950s, represented as the Reverse Course, leads to the conservative ending of the novel and pursuit for identity.

한국어

본 연구는 전후의 출발 지점이자 민주주의 학습기(期)인 일본의 미국 점령기에 주목해, 그 시대의 사회와 표상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자유학교』(1951)를 분석한 것이다. 시시 분로쿠의 『자유학교』는 점령기 일본인들의 ‘패전’ 및 ‘피점령’ 심리가 젠더와 결합하는 양상을 일상의 차원에서 아주 잘 보여주는 텍스트이다. 『자유학교』가 연재되던 당시, ‘남녀동권’은 ‘전후’를 표상하는 말이었다. 하지만 소설 속 여성들은 ‘새로운 가치의 대변자’라는 외장(外裝)에도 불구하고 ‘자립’한 자아나 변화의 ‘주체’로서 그려지고 있지 않다. 또한 보수적 남편들은 ‘전전’과 달라진 여성의 변화에 당혹해하며 ‘전후민주주의’에 위축되면서도, 그것을 신생(新生)의 원리로 수용하기 보다는 일과성 시류(時流)로 폄하하는 심리를 노정한다. 본고는 여권신장을 꿈꾸었으나 전전(戰前)의 한계를 완전히는 넘을 수 없었던 『자유학교(自由学校)』의 여성들과, 패전으로 상처 입어 ‘민주주의’에 대해 냉소적으로밖에는 반응할 수 없었던 점령기 남성들의 내면이, 그들의 전쟁 경험 및 피점령 심리와 구체적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보고, 이를 텍스트의 세부 구성에 대한 분석과 젠더 시점을 통해 고찰하였다. 또한 이른바 ‘역(逆)코스’로 대변되는 1950년의 회귀적인 시대 기분이 소설의 보수적 결말과 내셔널아이덴티티의 모색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검토하였다.

일본어

この研究は戦後の出発点であり民主主義の学習期である日本におけるアメリカの占領期に注目し、当代の社会とその表象研究の一環として『自由学校』を分析したものである。獅子文六の『自由学校』は日本人の敗戦コンプレックスと被占領心理がジェンダ─にかかわる様相を日常生活の次元でよく現れたテキストである。『自由学校』が連載されていた当時、‘男女同権’は‘戦後’を表象する言葉であった。しかし、小説の中に登場する女性たちは‘新思考の代弁者’という外装にも拘らず、自立している自我・変化の主体としてでは描かれていない。また男性たちは戦前とは違ってくる女性の変化に戸惑い民主主義という時代の流れに押されたりしながらも、占領と一緒に来た民主主義を‘新生’の原理として受容するよりは、それを一過性のブームとして矮小化しようとする心理を露呈する。本論文は、女権拡張を夢見つつ戦前の限界を完全には超えなかった『自由学校』の女性と、敗戦に傷つけられ‘民主主義’に冷笑的にしか反応できなかった作中の占領期男性の内面に共通に戦争経験と被占領心理が働いていると考え、その様相をテキストの細部構成の分析とジェンダ─の視点を用いて考察した。そして‘逆コース’という言葉で表現される1950年頃の時代気分がこの小説の保守的なエンディングとナショナリティ─の模索へ繋がる過程を検討した。

목차

<要旨>
 Ⅰ. 머리말
 Ⅱ. 1950년, 『자유학교』 그리고 ‘여자’들
 Ⅲ. 남자들의 ‘패전’ 의식과 전후민주주의
 Ⅳ. 맺음말
 参考文献
 <要旨>

저자정보

  • 송인선 InSun Song. 연세대학교 일본학연계전공 시간강사, 일본근현대문학 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