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혼카도리」와 『신코킨와카슈』의 미적기반

원문정보

The Aesthetic Foundation of “Honkadori” and “Shinkokin Wakashu”

구정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dissertation mainly focuses on the “Honkadori” of “Honka” which is the aesthetical base of “Shinkokinshu”. When we look into the Wakas selected as Honka in Shinkokinshu, there are a number of songs derived from “Kokinshu.” However, according to a research about repeated number of songs from several Honkadori, it is prominent to see plenty number of songs from “Isemonogatari”. This paper mainly analyzes Honkas of Isemonogatari and examines the aesthetic viewpoint of the authors and their contemporaries. One of main point of Honkas from “Isemonogatari’ is that they are wellknown love songs at that time. Despite their reputation, they are also known as songs of four seasons and elegies. Moreover, based on these love songs, the authors of Shinkokinshu uses the visual, auditory, and olfactory features to compose songs. Although their description of the world is virtual, they make people feels as real. Those who appreciate Wakas feels like watching a third dimension movie. These are the aesthetic aspects that the authors of Shinkokinshu wanted to describe and these aesthetic points constitute the Shinkokinshu’s aesthetic foundation.

한국어

본고에서는 『신코킨슈』의 미적기반을 이루고 있는 혼카도리가에 채택된 혼카에 초점을 맞추었다. 『신코킨슈』서 혼카로 채택된 와카를 살펴보면, 단연 『고킨슈』에 수록된 노래가 많다. 그러나, 한 수의 와카가 여러 혼가도리가에 채택된 중복 상황을 조사해보면, 단연 눈에 띄는 것이 『이세이야기』를 출전으로 하는 노래이다. 본고에서는 주로 『이세이야기』를 출전으로 하는 혼카를 분석함으로써, 『신코킨슈』 당시의 가인들이 동경하던 미의식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이세이야기』를 출전으로 하는 혼카의 특징은 『신코킨슈』 당시에 널리 알려진 사랑의 노래라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코킨슈』에서는 사랑의 노래뿐 아니라, 계절가나 애상가등에서도 혼카로 채택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그 사랑이야기를 바탕으로 신코킨슈의 작자들은 시각과 청각, 거기에 후각까지 더하여 와카를 읊어내고 있다. 그들이 읊어낸 와카는 현실적으로는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세계를 묘사하지만, 마치 현실인 것과 같이 착각하게 하는 특성이 있다. 와카를 감상하는 우리들은 마치 극장에 앉아 3D 영화를 보는 것 같다. 이것이 바로 『신코킨슈』의 작자들이 표현하고 싶어 했던 미적 세계이고, 이러한 미적세계가 신코킨슈의 미적기반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어

本稿は『新古今和歌集』の美的基盤をなす本歌取歌の本歌と取られた歌に焦点をあわせた。『新古今集』において本歌として取られた歌には端然『古今集』所出歌が多い。しかし、多数の本歌取歌に本歌として重複採択された歌を調べると『伊勢物語』を出典とする歌が多い。本稿では主に『伊勢物語』を出典とする本歌の分析を通して『新古今集』当時の歌人たちが目標とした美意識を覗いたみた。 『伊勢物語』を出典とする本歌は、まず、『新古今集』当時に人口に膾炙された恋歌である。にもかかわらず、『新古今集』においては恋歌のみでなく、季節歌や哀傷歌などに本歌として取られている。本歌取技法を駆使する新古今集の歌人たちはその恋歌的背景を下敷にして視覚と聴覚、そのうえ臭覚的な情緒を感じさせる歌を醸し出している。 その歌には現実的にはとうていあり得ない、超現実的な世界を詠みだしているが、現実のような錯覚に陥られるものがある。まるで映画館にいて、3D映画を見るように感じられる。それこそ、新古今集の作者たちが表現しようとした美的世界であり、このような美的世界が新古今集の美的基盤の一部を支えているといえよう。 

목차

<要旨>
 Ⅰ. 머리말
 Ⅱ. 혼카도리가의 산정
 Ⅲ. 『신코킨슈』의 혼카 순위
 Ⅳ. 『이세이야기』를 출전으로 하는 혼카의 세계
 Ⅴ. 『신코킨슈』의 혼카도리가
 Ⅵ. 맺음말
 参考文献
 <要旨>

저자정보

  • 구정호 Ku Jeong Ho. 중앙대학교 아시아문화학부 교수, 상대운문 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