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mythical meaning and the universal character of Korea mythology ─ Focused on <Samseunghalmangbonpuri> ─
초록
영어
It purposes that the universal character of Korea mythology is checked and through the comparison among the World myth, to find the meaning of each myth. To do that, we carried out the comparison among
한국어
본고는 한국 신화의 보편적 성격을 점검하고, 세계 신화와의 비교를 통해 개별 신화의 의미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주도에서 전승되는 <삼승할망본풀이>와 여러 신화의 비교 작업을 수행하였다. <삼승할망본풀이>가 한국 신화를 대표하는 작품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아니 오히려 한국 신화 중에서도 특수성을 갖는 작품이라 하겠다. 하지만 오히려 이런 특수성 속에서도 보편적 성격을 찾아낼 수 있는 것이 비교 연구의 진정한 의미 지향이라 생각한다. <삼승할망본풀이>를 관통하는 주요 지점은 산육신과 질병신의 대립에 있다. 이 대립의 과정과 결과에 의해 <삼승할망본풀이>의 가치 지향이 규정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질병신은 산육신과 출산 방식을 놓고 대립하게 되는데, 비정상적인 출산을 시도하면서 자신의 지위를 잃게 된다. 겨드랑이를 통한 출산을 시도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시도는 신화적 문맥으로 살펴보면 신의 출생으로 볼 수 있다. 알영, 주몽, 젯부기 삼형제, 석가모니, 육종의 여섯 아들, 위미르가 낳은 요툰 등 아주 많은 신적 존재가 겨드랑이를 통해 탄생하기 때문이다. 여러 신화와의 비교 작업을 통해 <삼승할망본풀이>가 신의 출생에서 인간의 출생으로 이행되는 서사이며, 이 과정에서 산육신이 교체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그런데 대립에서 패배한 동해용왕따님애기는 자리를 잃고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저승할망으로 좌정하면서 자신의 성격을 정반대로 변모시킨다. 구삼승할망이 질병을 내리는 질병신으로 탈바꿈한 것이다. 이러한 급작스런 변화는 새로운 산육신의 지위를 확보하기 위한 재앙 옮기기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 떠나가는 신격에게 재앙을 모두 옮김으로써 새로 탄생한 산육신의 위상이 높아지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일본 《고지키》에 나타난 이자나기와 이자나미의 관계, 그리고 유대신화에서의 릴리트와 아담의 관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들 신화는 질병과 죽음을 담당하는 신격의 대척점에 산육과 생산을 담당하는 신격을 내세움으로써 그 직능과 성격을 분명하게 가져가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결국 동해용왕따님애기가 보이는 급격한 변모의 의미가 여러 신화를 견주어 살핌으로써 보다 명확하게 드러났다고 할 수 있다.
일본어
本稿は韓国の神話の普遍的性格を点検し、世界神話との比較を通して個別の神話の意味を探すことを目的とする。このため、済州島で伝承される<サムスンハルマンボンプルイ>と様々な神話の比較した。<サムスンハルマンボンプルイ>が韓国の神話を代表する作品とは言えない。むしろ韓国の神話の中でも特殊性を持つ作品だといえよう。しかし、このような特殊性の中でも普遍的性格を見つけられるのが比較研究の真の意味を求めることだと考えられる。 <サムスンハルマンボンプルイ>を貫通する要は疾病神と産育神の対立である。この対立の過程と結果によって<サムスンハルマンボンプルイ>の価値が規定されるからだ。ここで疾病神は産育神と出産の方式をめぐって対立することになるが、非正常的な出産を試みながら自分の地位を失うことになる。脇を通じた出産を試みたためだ。しかし、こうした試みは神話的文脈の流れで見ると、神の出生と見ることができるだろう。閼英、朱蒙、ジェッブキ三兄弟、釈迦牟尼、育種の六の息子、ユミルが生んだヨトゥンヘイムなど、非常に多くの神的存在が脇を通じて誕生したのである。このように様々な神話との比較を通じて<サムスンハルマンボンプルイ>が神の出生で人間の出生に移行される叙事であり、この過程で産育神が交代されることを確認できた。 ところで対立で敗北した東海竜王の娘さんは場所を失って消えるのではなく、あの世へのハルマンに鎮座し、自分の性格を反対に変貌させる。旧サムスンハルマンが疾病を与える疾病神になったことだ。このような急激な変化は新しい産育神の地位を確保するための災難移しの形で見ることができる。立ち去る神格に災いをすべて移すことで、新たに誕生した産育神の地位が高まっているのである。このような構造は日本《古事記》に現れた伊邪耶岐と伊邪耶美の関係、そしてユダヤ神話でのリリスとアダムの関係にも見られる。これらの神話は病気と死を担当する神格の対蹠点に産育と生産を担当する神格を掲げることで、その職能と性格を明確に持つことになる。そのため、東海竜王の娘さんは急激な変貌の様相を示すしかないのである。 本稿では<サムスンハルマンボンプルイ>を様々な神話と比較することで疑問を解いた。
목차
Ⅰ. 머리말
Ⅱ. 여타 신화와 견주어 살핀 <삼승할망본풀이>의 신화적 출생
Ⅲ. 산육신과 질병신 대립 구조의 보편적 성격
Ⅳ. 맺음말
参考文献
<要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