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기업의 기업지배구조와 사회공헌활동

원문정보

Korean Firms' Governance Structure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신형덕, 박지현, 이남령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if the soundness of corporate governance affects the type of Korean firm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activities. Previous research on CSR activities has primarily focused on either the impact of CSR activities on firm value or the prerequisites of CSR activities. Especially on the second point, prior research has made predictions on what characteristics lead a firm to perform CSR activities. For example, Barnea and Rubin(2010), Bartkus(2002), and Coffey and Wang(1998) mentioned that internal statkeholders may have impacts on the level of CSR activities. In addition, Oh et al.(2011) found differential impacts of internal stakeholders and external stakeholders on a firm’s CSR activities. Following this research, this study categorized CSR activities into two broad groups and investigated if different groups have different prerequisites. To do this, this study first identified two groups of CSR activities, organizational and voluntary activities. Also this study identified two prerequisites related to firms’ governance structure, which are stockholder right protection scores and information discloser scores. We then tried to find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scores of a firm’s governance structure and the firms’ choice of a type of CSR activity. We collected data for firms’ CSR activities from The Federation of Korean Industrie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White Paper during 2009-2012, data for firms’ governance structural soundness scores from the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and data for firms’ financial status from Korea Listed Companies Association. Also we used Korea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Tables to control industry effects. Based on 236 public firms that performed CSR activities during 2009-2012, we found that stockholder rights protection score is associated with organizational CSR activities, while information discloser score is associated with voluntary CSR activities. As a result, we found that different stakeholders have different impacts on a firm’s SCR activities. Stockholders may have more strategic purposes on the firm’s CSR activities which involve organization-basis formal planing processes. On the other hand, when a firm is active to disclose it’s information to outside, voluntary CSR activities could be more important to show that the firms is behaving as a citizen in the society.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e used governance structure scores and CSR data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ince governance may have broad impact on a firm’s activities in various ways, it could be interesting to see if other types of activities, such as innovation or globalization, could be affected by governance structure. Second, this study categorized CSR activities into two groups, organizational and voluntary activities, but other types of activities could be found if data is allowed. If so, we can have better picture on how firms to contribute to the society. Third, this study focused on the function of information disclosure in terms of CSR activities. It is suggested that the impact of information closure of the firm could be another interesting research topic.

한국어

본 연구는 유형별로 구분한 기업지배구조의 건전성이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의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사회공헌활동이 기업의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와 사회공헌활동을 유발하는 요인에 관한 연구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먼저 사회공헌활동의 유형을 분류하여 각 유형의 활동 동기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사회공헌활동의 유형을 조직적 사회공헌활동과 자발적 사회공헌활동으로 구분하고 사회공헌활동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기업지배구조를 주주권리보호의 적정성과 외부정보공시의 적정성으로 구분하여 그 연관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발표하는 한국 기업의 기업지배구조의 건전성 지표 중 주주권리보호와 공시의 적정성에 대한 지표를 이용하고, 전국경제인연합회에서 발행하는 사회공헌백서 자료에서 한국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을 조직적 사회공헌활동과 자발적 사회공헌활동 변수로 분류하여 이용하였으며, 한국상장회사협의회 데이터와 한국표준산업분류표 등으로부터 사회공헌활동의 형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요인들을 수집하여 통제변수들로 이용하였다. 2009년-2012년 사회공헌활동을 수행한 236개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주주권리보호의 적정성은 조직적 사회공헌활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공시의 적정성은 자발적 사회공헌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지배구조와 관련된 상이한 이해관계자는 기업의 경영자가 조직적 및 자발적 사회공헌활동을 수행하는 형태에 차별적 영향력을 갖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문헌연구
  2.1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이해관계자에 관한 논의
  2.2 기업지배구조와 사회공헌활동
  2.3 조직적 사회공헌활동과 자발적 사회공헌활동
 Ⅲ. 가설설정
  3.1 조직적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가설
  3.2 자발적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가설
 Ⅳ. 연구방법
  4.1 자료 및 통계치
  4.2 변수 정의
 Ⅴ. 실증분석 결과
  5.1 기초통계량 및 상관관계 분석
  5.2 가설검증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신형덕 Shin, Hyung-Deok. 홍익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 박지현 Park, Jihyon. 국립현대미술관
  • 이남령 Lee, Nam-Ryoung. 한국항공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