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예비간호사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기반 공감훈련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원문정보

Development and Its Effect of Empathy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Cognitive Behavior Therapy for the Student Nurses

김혜영, 김정민, 이미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mpathy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cognitive behavior therapy(CBT) and verify its effect.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thirty student nurses who completed clinical training. They were randomly assigned into 3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for the CBT-based empathy training program, the comparison group for the general empathy training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for no treatment. The CBT-based empathy training program comprised empathic cognitive training, cognitive reconstitution and communication skill training, and offered a 90-minute session twice a week for a total of 10 sessions. The effect of the program was verified through a pretest, post-test and 3-month follow-up test.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mpathy capability of nurses and EQ-short-K-empathic variables were found to be higher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mparison group and control group after the program implementation. The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was marked as the highest for the experimental group followed by the comparis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However, no difference was found for sensitivity, a subscale of empathy capability, and personal pain, a subscale of the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Second, negative automatic thought of the cognitive variable, irrational belief,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 of the social interactional anxious thought were marked lower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other two groups. Positive automatic thought, a subscale of social interactional anxious thought, was higher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no difference was found for dissatisfaction at reality, a subscale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 desire for change, and sense of emotional irresponsibility, a subtype of irrational belief. Third, communication skill of the behavioral variable was marked higher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Fourth, at the 3-month follow-up test, the empathy capability of nurses, EQ-short-K and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of empathic variables were marked higher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mparison group, whereas no difference was found for personal pain, a subscale of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n addition, at the 3-month follow-up test, negative automatic thought of the real cognitive variable, irrational belief and social interactional anxious thought were marked lower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mparison group, and communication skill of the behavioral variable was marked higher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mparison group.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간호사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기반 공감훈련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임상 실습을 마친 간호학과 대학생 30명으로 인지행동치료 기반 공감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 일반 공감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한 비교집단 및 무처치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임의 배정되었다. 인지행동치료 기반 공감훈련프로그램의 구성 요인은 공감 인지 훈련, 인지적 재구성, 의사소통기술 훈련이며, 주 2회 90분씩 총 10회기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은 사전, 사후 및 3개월 추후 검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실시 후 공감 변인인 간호사 공감역량, 공감 수준은 실험집단이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인관계 반응지수는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간호사 공감역량의 하위 요인인 민감성과 대인관계 반응지수의 하위 요인인 개인적 고통은 집단 간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둘째, 프로그램 실시 후 인지 변인인 부정적 자동적 사고, 비합리적 신념,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사고의 하위 요인인 부정적 자동적 사고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사고의 하위 요인인 긍정적 자동적 사고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하위 요인인 현실에 대한 불만과 변화욕구와 비합리적 신념의 하위 요인인 정서적 무책임감은 집단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프로그램 실시 후 행동 변인인 의사소통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프로그램 종료 3개월 후 공감 변인인 간호사 공감역량, 공감 수준, 대인관계 반응지수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대인관계 반응지수 하위 요인인 개인적 고통은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또한 프로그램 종료 3개월 후 인지 변인인 부정적 자동적 사고, 비합리적 신념,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사고 모두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동 변인인 의사소통은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방법
  연구대상
  측정도구
  프로그램 개발 절차
  프로그램 구성
  프로그램 운영
  자료 분석
 결과
  1. 실험집단, 비교집단 및 통제집단 간 사전검사 비교
  2. 실험집단, 비교집단 및 통제집단 간 사후검사 비교
  3. 실험집단, 비교집단 및 통제집단 내 사전-사후검사 비교
  4.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추후검사 비교
  5.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내 사전-추후검사비교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혜영 Hye Young Kim.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 김정민 Jung Min Kim.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 이미영 Mi Young Lee.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