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구약신학의 주제

성결법전의 수사학과 신학

원문정보

Rhetoric and Theology in the Holiness Code

김선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an enforceable rule, the law regulates and controls human behavior. In that regard, the language of the legal profession should be clear and distinct. When the law is written ambiguously, its various interpretations will cause lots of problems. In this point, the Holiness Code(Lev 17-26), one of the main law codes in the Hebrew Bible, does not meet the linguistic criteria of the modern law. In this law code, one can find the art of persuasion such as inventio, dispositio, and elocutio that were developed in the classical rhetoric in order to persuade the audience. In the Holiness Code appear various rhetorical arrangements, for example the parallelism in a micro-structure and the chiasm in a macro-structure. By using rhetorical techniques such as omission, metaphor, and repetition, the Holiness Code does not satisfy the legal language up to a modern standard. However, this legislation does not expose its naivete as being written in ancient times. On the contrary, its style aims to persuade the audience or the readers who listen or read the Law and finally to invite them to live autonomously according to the Word. This intent is not revealed only by the stylistic scheme of this law code. The Holiness Code does not mention political and social personage like king, judge, and ruler that are found in the Covenant Code(Exod 20:22-23:33) and the Deuteronomic Code(Deut 12-26). No political power is given to the priests. This fact gives a lot of implication to the religious, political, and legal groups who use the rhetorical devices actively.

한국어

법은 강제력을 수반하는 규범으로, 사람의 행위를 규정하고 통제한다. 이러한 점에서 법을 기술하는 언어는 명석하고 판명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 법이 모호하게 기술될 때에는 사람에 따라 서로 다르게 해석되어 법을 적용하는데 많은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구약성경의 주요 법전 가운데 하나인 성결법전(레 17-26)은 이러한 현대법의 언어의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다. 고전수사학에서 발전시킨 규준인 발견, 배열, 표현의 관점에서 볼 때, 청중을 설득하려고 하는 설득의 기법이 나타난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성결법전은 크게는 하나의 장, 작게는 하나의 문단에서 평행법이나 교차대구법을 사용하는 수사학적 배열 방식이 나타난다. 표현의 측면에서는 생략, 은유, 반복 등의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현대의 관점에서 바라볼 때에는 오히려 법언어로서의 기준에 맞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성결법전의 특징은 고대에 기록된 법이 가지고 있는 미숙함을 폭로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법의 선포를 듣거나 법을 글로 읽는 청중이나 독자의 삶을 배려하여, 그들을 설득하고 그들이 자율적으로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여 실천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의도는 단지 성결법전의 문체를 통해서만 드러나는 것이 아니다. 성결법전에는 계약법전이나 신명기법전이 언급하는 임금도 재판장도 지도자도 나타나지 않는다. 제사장에게는 어떠한 정치권력도 주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사실은 오늘날 수사학을 사용하는 종교인과 정치인과 법률가에게 시사하는 바가 많다.

목차

1. 머리말
 2. 고전수사학과 성서 율법
  1) 발견/소재/주제설정(inventio)
  2) 배열/배치/짜임새(dispositio)
  3) 문체(elocutio)
 3. 맺음말
 4.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선종 Sun-Jong Kim. 호남신학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