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봉암(峰庵) 변월주(邊月周)의 불교 사상

원문정보

Bongam Byeon Wolju’s Buddhist Thought

신규탁

대각사상연구원 대각사상 제26집 2016.12 pp.41-64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odern Korean history was distorted by the invasion of Japanese Imperialism. The distortion was occured in the various fields, including Buddhist history. The life of Bongam(峰庵) Byeon wolju(邊月周: 1909∼1975) was also distorted. In his youth, He became a professor at Masan University with the status of Buddhist monk. But he had to go through the huge change along with the appearance of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韓國佛敎曹溪宗) in 1962. In this paper, Byeon Wolju’s Buddhist thought was analyzed and its meaning was depicted in this evaluation, based on the four points of view: First, it was examined from the viewpoint of the ‘Dharma realm(法界)’ thought. Second, it was examined from the viewpoint of ‘ignorance(無明)’ break-down. Third, it was examined from the viewpoint of ‘the dharma lineage of members of the Buddhist order(宗統). Finally, it was examined from the viewpoint of the movement of great vehicle buddhism. After reviewing his Buddhist thought based on these four points of view, I evaluated his thought and concluded that he tried to change contemporary thought during the course of Korean modern Buddhist history.

한국어

한국 근대사는 일본의 제국주의 침략으로 인해 뒤틀리는 굴절이 있었다. 그 굴절은 각 방면에 걸쳐 발생했는데, 불교의 역사도 그 중의 하나이다. 이런 굴절의 불교사 속에서, 봉암 변월주의 삶 또한 굴절되고 말았다. 그는 젊은 시절 일찍이 승려의 신분으로 마산대학의 교수가 되었지만, 1962년 ‘대한불교조계종’의 출현과 더불어 그의 인생은 큰 변화를 겪지 않을 수 없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런 근대시기를 살아갔던 변월주의 불교사상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평가적으로 서술한다. 네 측면에서 이런 작업을 수행했다. 첫째는 ‘법계(法界)’ 사상의 측면에서, 둘째는 ‘무명(無明)’의 타파 측면에서, 셋째는 ‘종통(宗統)’의 측면에서, 넷째는 ‘인재양성’의 측면에서 각각 검토하였다. 이런 검토 결과, 필자는 그의 사상은 근대 한국불교의 맥락 속에서 현대의 사상적 변화를 시도했다고 평가했다.

목차

한글요약
 Ⅰ. 머리말
 Ⅱ. 전통의 계승과 현대화
  1. 일진법계(一眞法界) 사상
  2. 무명의 본질과 그 타파 방법
  3. 태고종통의 확립
  4. 인재양성의 강조
 Ⅲ.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신규탁 Shin, Gyoo-tag. 연세대 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