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청소년의 종교기관 출석빈도, 공동체의식, 사회ㆍ정서적 적응과 삶의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 기독교와 타종교의 비교

원문정보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Religious Activities, Community Spirit, Social-emotional Adaptation and Life Satisfaction : Comparison of Christianity and Other Religions

이현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religious activities, community spirit (volunteering cooperati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social‐emotional adaptation (school adaptation, emotional issue) and life satisfaction.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s longitudinal study were analyzed by MANOVA and S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attendance to church or temple and the level of volunteering· cooperation as a function of religion. Christian adolescents went to church more frequently than adolescents from other religions who visit temples. Furthermore, both Christian adolescents and adolescents of other religions showed higher volunteering cooperation than adolescents having no religion. Second, compared to adolescents of other religions, for Christian adolescents, the frequency of church attendance dis played an inverse relationship with emotional issues by indicating that as frequency of church attendance rose, they experienced less emotional problems. Third, various emotional issues affected the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with other religions more than that of Christian adolescents. Lastly, community spirit positively affected school adaptation and life satisfaction while lowering incidence and severity of emotional issues for both Christian adolescents and adolescents from other religions. More particularly, volunteering· cooperation positively affected the life satisfaction of Christian adolescents more than those of other religion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종교기관 출석빈도, 공동체의식(봉사·참여의식, 다문화수용), 사회·정서적 적응(학교적응, 정서문제), 삶의 만족도의 수준과 변인 간 관계에서 종교유형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 지를 살펴보고 이에 기초하여 기독교교육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아동·청소년패널데이터 중 초등학교 4학년 코호트의 중학교 2학년 자료를 다변량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종교기관 출석빈도와 봉사·참여의식에서 종교유형 간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기독 청소년들의 교회출석빈도는 타종교 청소년들의 종교기관 출석빈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기독청소년과 타종교 청소년들은 무교 청소년보다 봉사·참여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독 청소년과 타종교 청소년 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타종교 청소년에 비하여 기독 청소년들은 교회 출석빈도가 높을수록 정서문제 경험이 적었다. 셋째, 정서문제는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는데 이는 기독 청소년보다 타종교 청소년에게 더욱 크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봉사·참여의식은 학교적응과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정서문제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봉사·참여의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은 타종교 청소년보다 기독 청소년에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공동체의식을 중심으로 한 기독교적 인성교육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목차

한글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이론적 배경
  1.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저하와 사회 ‧ 정서적 적응
  2. 공동체 의식과 사회 ‧ 정서적 적응
  3. 종교 활동이 공동체 의식, 사회 ‧ 정서적 적응,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II. 연구방법
  1. 연구자료
  2. 측정도구
  3. 분석방법
 IV. 연구결과
  1. 기술통계 및 상관계수
  2. 종교 유형에 따른 종교 기관 출석 빈도, 사회 ‧ 정서적 적응과 삶의만족도 차이(연구문제 1)
  3. 종교 기관 출석 빈도, 사회 ‧ 정서적 적응,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연구문제 2)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현주 Hyunjoo Lee. 명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