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재난과 심리적 외상 - 세월호 사건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Disaster and Psychological Trauma - focused on Sewolho -

임정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plored psychological effect and psychological trauma due to accidents focusing on Sewolho accident that happened in April 16th, 2014 among man‐made disasters. The disaster, an abnormal and percussive event may psychologically affect every victim of the disaster, and victims of a disaster may show various responses such as 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response. In particular, as for psychological effect regarding coping measures, man‐made disasters, which accompany social conflicts and splits may produce a maleficent psychological effect the more seriously than natural disasters.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responses that victims of a disaster show in an early stage are regarded as normal ones, and when there is a proper implementation of crisis intervention, most of them could be rehabilitated unaffectedly. However, without a proper implementation of crisis intervention on the disaster, it can be left as a psychological trauma which may result in various mental disorders includ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s that disaster victims should suffer from. Although Korea began to operate the Disaster Mental Health Support Center according to the disaster psychological support law legislated in 2004, there has been no practically established professional system for psychological support in reality. At the time of the occurrence of Sewolho accident, there was no implementation of professional crisis intervention or psychological support, and still any support and/or problem solving are in delay under pertinent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s. For over 2 years since then, victims and disaster‐bereaved families have risen to the truth commission on the disaster and now the psychological status of the victims is significantly serious in that there hasn’t been any settled truth commission that is a prerequisite for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with no progress towards the stages of rehabilitation and restoration. It is simply hoped that the situation that they may be supporters each other in fighting together with victims and disaster‐bereaved families, could be an experience of “growth after traumatic experience” as the basis of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and restoration.

한국어

본고에서는 인간에 의한 재난 중 2014년 4월 16일 발생한 세월호 사건을 중 심으로 사고로 인한 심리적 영향과 심리적 외상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재 난은 비정상적인 충격적인 사건으로 재난피해자 모두에게 심리적인 영향을 미치고 재난피해자는 다양한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반응을 보인다. 특히 대 처와 관련한 심리적 영향을 보면 자연재해보다 사람에 의한 재난의 경우 사 회적 갈등과 분열이 발생하면서 심리적으로 더 악영향을 미친다. 재난피해자 들이 보이는 초기의 심리적, 행동적 반응들은 정상적인 반응으로 위기개입이 적절히 실행되면 대부분은 자연스럽게 회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위기 개입이 적절히 실행되지 않을 경우 심리적 외상으로 남아 재난피해자들이 외 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비롯한 다양한 정신장애로 고통을 받을 수 있다. 한국 은 2004년 제정된 재난심리지원법에 따라 재난심리지원센터가 운영되고 있 었으나 실질적으로 전문적인 심리지원체계가 확립되지 않은 상황이었다. 세 월호 사건이 발생했을 당시 전문적인 위기개입 및 심리적인 지원이 실행되지 못하였고 정치・사회적인 여건으로 지원 및 문제해결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 이다. 이 년여가 지난 현재까지 생존자 및 유가족들은 진상규명을 위해 투쟁 하고 있는 상황으로, 심리적인 회복의 기본 전제인 진상규명마저 해결되지 않은 상태로 회복 및 재건단계로 진전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들의 심리적인 상태는 매우 우려스러운 상황이다. 다만 피해자 및 유가족이 함께 투쟁하면 서 서로 지지자 역할을 하는 상황이 ‘외상경험 후 성장’의 경험으로 심리적 회복 및 재건의 바탕이 되기를 희망 해 본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재난과 심리적 지원
 Ⅲ. 재난과 심리적・행동적 반응
 Ⅳ. 재난과 심리적 지원
 Ⅴ. 심리적 외상(Trauma)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국문요약

저자정보

  • 임정선 Lim, Jeong-Sun. 서울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